2022년 기초연구사업, 이렇게 달라집니다! - 과기정통부, 2022년 기초연구사업 전년대비 2,107억원 증가한 2조 14억원 지원 -
- ① 젊은 연구자 지원 확대, ② 학제 간 공동 연구 지원 강화, ③ 학문분야별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2022년도 기초연구사업 시행계획’을 마련하고 11월 5일 (금)에 공고 후 2022년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ㅇ 과기정통부는 2017년 이후 국정과제로 연구자가 자유롭게 연구비, 연구주제, 연구기간을 제안하는 자유공모형 기초연구사업에 대한 지원을 꾸준히 확대해왔으며,
- ’22년에는 개인연구 1조 6,283억원, 집단연구 3,730억원 등 교육부 기초연구사업 예산을 포함해 ’17년 대비 2배 이상 확대된 2.55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 2022년도 정부(안) 기준으로, 국회 예산 심의 이후 달라질 수 있음
< 연구자주도 기초연구사업 지원체계(과기정통부, 교육부) > | |||||||||||||||||||||||||||||||||||||||||||||||||||||||||||||||||||||||||||||||||||||||||||||||||||||||||||||||||||||||||||||||||||||||||||||||||||||||||||||||||||||||||||||||||||||||||||||||||||||||||||||||||||||||||||||||||||||||||||||||||||||||||||||||||||||||||||||||||||||||||||||||||||||||
|
※ (과기정통부) 수월성 중심의 전주기적 우수 연구과제 지원 / (교육부) 인력양성 및 기반(인프라) 지원
□ 2022년도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의 주요 추진방향은 다음과 같다.
① 젊은 연구자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안정적인 초기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
- 우선, 올해 처음 시작한 우수한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을 지원하는 ‘세종과학펠로우십’과 젊은 전임교원 대상인 ‘우수신진연구’ 사업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 또한, 연구를 처음 시작하는 신임 전임교원들은 연구경력이 짧아 경쟁형 과제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을 고려하여,
- ➊ 생애첫연구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2023년에는 연구를 시작하고 싶은 신임전임교원의 대부분이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하여 첫 연구에 대한 보편적이고 안정적인 지원을 보장하고,
* 생애첫연구 신규과제(안) : (’21년) 506개 → (’22년) 600개 → (’23년) 800개 (매년 이공분야 신임전임교원 약 750명)
- ➋ 평가 제도를 개선해 연구실적과 경력이 아닌 연구자의 연구의지와 연구계획의 창의‧도전성 중심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
| 2021년 |
| 2022년 |
심의 항목 |
| 연구계획의 창의성‧도전성/연구의지 등 | | 좌동 |
연구실적 제출 | 대표적 연구실적 5개 이내 제출 | 연구자의 연구역량 정성적 기술 |
② 기술변화, 사회문제 대응 등을 위한 학제 간 공동연구 지원을 강화한다.
- 이공분야와 인문‧사회 분야 등 초학제간 분야를 지원하는 ‘융합분야 선도연구센터(Convergence Research Center*)’의 지원을 강화해 ’21년에는 신규과제를 선정하지 않았으나, 올해는 3개 내외의 신규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다.
- 또한, 학문분야별 대표학회와 연구자 중심으로 연구 환경 변화, 사회적 이슈 등을 고려해 도출한 연구주제(키워드)를 활용해 ‘융합형 기초연구실’로 중점 지원한다. (20개 내외)
< 융합형 기초연구실 연구주제 예시(자연과학분야) > | |
수학 | 인공지능/4차 산업혁명, 의료/생명, 응용통계기법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수학/통계이론 및 기법 연구 |
물리학 | 양자컴퓨팅, 인공지능/빅데이터, 우주와 물질의 기원, 생명현상의 물리학적 이해와 응용(분자~거시까지 발생하는 현상에 물리학적 방법론 적용) , 양자상태의 물리학, 복잡계 물리학(4차 산업혁명, 플랫폼기반 경제 발전으로 새로운 현상이 창발되는 것 탐구), 효율적이고 안전한 에너지(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원 및 소재‧소자 기술 등) |
화학 | 차세대 에너지 전환과 저장 및 활용, 혁신소재 개발 및 응용, 바이오‧의료‧의약학 분야 난제 해결, 녹색화학 산업 중점 융합 기술, 인공지능 기반 화학원천 연구 및 응용, 기타 융합화학 연구 |
지구 과학 | 재난 및 자연재해, 극지 및 초점지역, 지구시스템, 미래지구(기후변화로 인한 미래지구 위험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책 연구), 생지화학 및 환경오염 |
③ 학문분야별 특성을 반영한 기초연구지원을 전 학문분야로 확대한다.
- 대표학회 등 연구현장이 주도해 사업규모와 포트폴리오를 설계한 학문분야별 지원체계를 전 분야에 확대 적용한다.
※ (’20년) 수학 시범적용 → (’21년) 수학, 물리, 화학, 지구과학, 기초/분자생명, 의학 → (’22년) 전분야
- 각 학문분야는 연구 환경 변화, 연구규모 등을 고려해 분야별 특성에 맞게 세부사업 규모를 조정*하였고 자세한 내용은 신청요강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예: 소액‧장기연구(수학), 장비 준비를 고려해 연구초기 연구비 확대(물리) 등
④ 현장 의견을 반영한 제도개선을 통해 연구자 중심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
- 세종과학펠로우십의 경우, 연구자가 주관연구기관 없이 과제를 신청하고 선정됐을 때 30일 이내에 주관연구기관을 확정해야했으나, ’22년부터는 선정 후 6개월 이내에 주관연구기관을 확정하면 되도록 유예기간을 연장할 예정이다.
- 또한 세종과학펠로우십의 연구기간 각 단계별(3+2, 2단계)로 6개월 이내, 최대 1년이 가능했던 해외파견 연구기간을 단계 구분 없이 1년 동안 가능하도록 변경한다. (’21년 신규과제 선정자도 적용)- 이와 함께 기초연구사업 수행 시, 연구 수행포기 정당한 사유에 포함되지 않아 제재를 받았던 다양한 불가피한 사례들을 검토하기 위해 특별평가를 신설하고, 이를 통해 과제를 중단한 연구자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할 예정이다.
- 이외에도, 최근 이슈가 되는 미성년 저자 및 특수관계자(배우자, 직계 존‧비속)의 과제 참여 관련하여 검토 대상을 확대하고 승인 절차를 보완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고,
|
| 2021년 |
| 2022년 |
특수관계자 검토 대상 |
| 연구책임자와 관련된 특수관계자만 검토 | | 연구책임자 및 참여연구자까지 검토 확대 ※ 단순행정, 실험보조 등은 참여불가 |
승인절차 | 자체 규정에 따라 심의․조치 (이 경우 전문기관에 조치결과 제출) 하거나 전문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 승인 요청 | 주관연구기관의 장의 검토 및 승인을 거쳐 전문기관의 장에게 연차별로 승인 요청 | ||
|
- 우수 연구자의 출산‧육아로 인한 경력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출산‧육아휴직 시, 사업의 신청 자격 기간을 연장(신진/생애첫/재도약연구)할 예정이다.
※ 신진/생애첫연구는 시행 중이며, 재도약 연구로 확대
< 신진/생애첫/재도약연구 지원 대상 > | |
신진연구 |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출산‧육아휴직 기간은 산정에서 제외) 또는 만 39세 이하인 대학 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 정부출연, 민간연구소의 연구원 |
생애첫연구 | 개인기초연구사업 수혜 경험이 없는 대학의 전임교원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7년 이내(출산‧육아휴직 기간은 산정에서 제외) 또는 만 39세 이하 |
재도약연구 | 대학이공분야 교원(전임/비전임) 및 국(공)립 정부출연 연구소의 비정규직 연구원 중 재도약연구 개시일 기준 최근 1년 이내(최근 1년 이내 출산‧육아휴직 기간 산정 제외) 우수연구(리더/중견/우수신진) 종료 후 2022년도 우수연구 최초신규과제 미선정자 |
□ 2022년도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내용과 추진일정은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ㅇ ’21.11.10.(수)에는 연구자들 대상으로 온라인 사업설명회를 실시간으로 개최*하고, ’22년 사업 추진방향 및 주요내용에 대해 설명 후, 별도 게시판을 통해 궁금한 사항에 대한 답변을 할 계획이다.
* 플랫폼(http://basic.mlive.kr) 및 유튜브(한국연구재단 유튜브)를 통해 동시 송출
- 온라인 설명회와 함께, ’21.11.12.(금) 및 11.16.(화)에는 부산/광주(11.12.)와 대전(11.16.) 지역에서 찾아가는 설명회를 개최한다.
※ (부산) 부산대 통합기계관 대강당 / (광주) 전남대 용봉문화관 시청각실 / (대전) 한국연구재단 대전청사 대강당
ㅇ 개인기초연구 사업(기본연구 제외)은 11월 26일~12월6일, 집단연구사업은 11월 26일~22년 1월 28일까지 접수를 마감하고, 선정평가를 통해 선정되면 각각 3월 1일, 6월 1일에 연구를 개시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