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 연구단, 국내 CCS 유망 저장소 7.3억톤으로 평가, 추가 개발시 최대 11.6억톤(연 3,870만톤) 저장 가능 전망 - CCS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종합 평가 결과 발표 - |
< CCS 심포지엄 개최 개요 > | |||||
◇ (일시·장소) ’21.11.3(수),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02호(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 (주최) 산업부, 해수부, (주관) K-CCUS추진단, (후원) 지질학회 등 관련 7개 학회, 지질자원연구원, 해양과학기술원, 석유공사 ◇ (참석) 산업부, 해수부, K-CCUS추진단, 지질학회, 자원환경지질학회, 자원공학회, 해양학회, 석유지질퇴적학회, 석유공학회, ESG학회, 지질자원연구원, 해양과학기술원, 석유공사, SK이노베이션 등 관계자 약 150여명 ◇ (주요내용) 축사(에너지산업실장), 해역별 종합평가 결과 발표(연구단장), 질의 응답 |
구분 | 평가 대상 | 평가 기반 자료 | 평가 의미 | |
4단계 | 사업부지*규모 평가 *유망구조중 실제 사업성까지 검토된 확정적 저장소 | 고밀도 탐사 자료 현장 탐사시추*자료 *유망구조를 대상으로 사업성을 확인하기 위한 최종 단계 시추조사 | 확인 저장량 *현장 탐사시추를 통해 확인된 확정적 저장용량 평가 | |
3단계 | 유망구조*규모 평가 *저장소와 덮개구조의 품질 및 구조의 지오메트리가 정의된 저장 후보지 | 고밀도 탐사 자료 및 참조 시추*자료 *현장(on-site) 시추자료는 아니나 참조 가능한 주변지역 시추자료 | 유망 저장량 *저장 가능성이 확인된 높은 수준의 저장용량 평가 | |
2단계 | 잠재지층*규모 평가 *퇴적분지내 저장에 적합한 지질특성을 가지고 있는 저장소 후보지층 | 고밀도(2D·3D*) 탐사자료 *탄성파 탐사 분석밀도가 조밀한 3차원적 퇴적암체 분석 | 잠재 저장량 *잠재적 수준의 저장 용량 평가 | |
1단계 | 퇴적분지*규모 평가 *모래 크기의 퇴적물로 이루어진 저장층이 존재 가능한 퇴적지층 | 저밀도 2D*탐사자료 *탄성파 탐사 분석 밀도가 낮은 불연속 단면으로 퇴적암체 분석 | 이론 저장량 *이론적 평가 수준의 저장용량 기초평가 |
평가 체계 | 주요 내용 |
저장 규모 | ㅇ 단일 저장 규모가 100만톤 이상 대규모로, 인근 지역에 추가 저장구조가 존재하여 확장 가능성(저장 밀집도)*이 높은 저장소 * 저장 밀집도 : 저장 유망구조가 밀집되어 저장소 클러스터 개발이 가능한 정도 |
외교적 관계 | ㅇ 인접국가와의 해양 국경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배타적 경제수역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종합 평가 수행 * 한일공동개발구역(JDZ : Joint Development Zone) 등 해양 국경 문제 민감 지역 |
수용성·안전성 | ㅇ 주민 수용성,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연안에서 30km 이상 거리에 위치한 지역 대상으로 한정하여 저장 용량 평가 |
경제성 | ㅇ 저장 가능 퇴적지층 깊이(심도)를 800~3,000m로 한정하고, 경제성이 낮은 3,000m 이상 심부 지층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 * 지층에 주입된 CO2는 최소 800m 이상 심도의 지층에서 초임계 상태(액체와 기체의 중간 상태(기체의 확산성, 액체의 밀도))로 유지되어 저장 → 장기적으로는 고체화 |
해역 | 위치 | 1단계 (퇴적분지) | 2단계 (잠재지층) | 3단계 (유망구조) | 4단계 (사업부지) | ||||||||
최소 | 중간 | 최대 | 최소 | 중간 | 최대 | 최소 | 중간 | 최대 | 최소 | 중간 | 최대 | ||
서해 | 군산분지 | 26.4 | 52.7 | 90.1 | 3.7 | 15.4 | 53.5 | 1.5 | 5.4 | 15.7 | |||
흑산분지 | 20.7 | 41.3 | 70.9 | ||||||||||
기반암고지대 | |||||||||||||
소 계 | 47.1 | 94.0 | 161.0 | 3.7 | 15.4 | 53.5 | 1.5 | 5.4 | 15.7 | - | - | - | |
남해 | 제주분지 | (분지경계 미확정) | 1.74 | 4.3 | 10.9 | ||||||||
대륙붕소분지 | 54.0 | 108.0 | 184.5 | ||||||||||
현무암대지 | 44.0 | 88.0 | 150.3 | 4.61 | 9.24 | 15.8 | |||||||
소 계 | 98.0 | 196 | 334.8 | 6.3 | 13.6 | 26.7 | - | - | - | - | - | - | |
동해 | 울릉분지 | 124.5 | 248.9 | 425.3 | 22.3 | 55.2 | 137.7 | 1.93 | 0.14 | ||||
한국대지 | 32.8 | 65.7 | 112.3 | 0.6 | 1.6 | 4.0 | |||||||
소 계 | 157.3 | 314.6 | 537.6 | 22.9 | 56.8 | 141.7 | - | 1.93 | - | - | 0.14 | - | |
총 계 | 302.5 | 604.6 | 1,033.4 | 32.9 | 85.8 | 221.9 | - | 7.33 | - | - | 0.14 | - |
< 단계별 국내 CO2 저장 유망구조 규모 >
* 원의 크기는 저장용량 규모 (중간값) ** 2단계 잠재지층 저장소 추가개발을 통해 2억톤 규모 유망구조 저장소 추가 확보 |
중점 추진 계획 | 사업기간 | 투자규모 | ||
1. 저장소 확보 (‘30년까지 9억톤 이상 대규모 저장소 확보) | 4,080억 | |||
ㅇ ‘23년까지 1.2억톤급 대규모 저장소 조기 확보 | ’21~‘23 | 280억 | ||
ㅇ ‘30년까지 6억톤 이상 대규모 저장소 확보 | ‘24~’30 | 3,500억* | ||
ㅇ 국내 대륙붕 신규 저장소 탐사사업 추진 * 유망구조 2억톤 이상 추가 확보 | ‘23~’28 | 300억 | ||
2. 기술개발 (저장 기술 완성 및 효율 혁신으로 2억톤 이상 추가) | 10,090억 | |||
ㅇ 저장운영 기술 및 저장 효율 혁신기술개발 * ‘30년까지 기술고도화 지속 추진 | ‘21~’24 | 295억 | ||
ㅇ 모니터링 기술 및 非플랫폼형태* 저장기술개발 * 육상 직접 저장 방식으로 투자·운영비 획기적 절감 | ‘22~’24 | 295억 | ||
ㅇ 동해가스전 활용 CCS 통합 실증사업 추진 (계획중) * ‘25년경부터 年 40만톤 저장(총 1,200만톤) | ‘23~’30 | 9,500억* | ||
3. 국제협력 (국제공동연구를 통한 상용기술 조기 확보) | 120억 | |||
ㅇ 5대 국제공동 CCS 프로젝트 참여 추진 * EU·호주·중동·동남아·북미 등 주요 프로젝트 협력 사업 추진 | ‘22~’24 | 120억 | ||
투자규모 합계 | 14,290억 |
추진 중 | , ‘22년 정부안 반영 | , 계획 중 | * 예타 대상 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