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하시는 질문

202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3-12-26

 

 

2022년도 국내 방송시장 매출액 19조 8천억 원

-2022년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담은 ‘2023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지상파방송·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프로그램 수출액 최초 5억 달러 돌파($5.6억, ’21년 대비 29.6% 증가), 콘텐츠 중요성 커져

 

IPTV는 가입자 수 증가로 꾸준히 매출 성장유선방송·위성방송은 감소 추세 유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이상인이하 ‘방통위’)는 2022년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담은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방송매출 1억 원 이상의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이다매년 6월 발표되는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방통위)’의 매출액 이외에 프로그램 제작·구매비수출입종사자 등을 추가로 조사하여 매년 12월에 결과를 발표한다.

 

 ※ (대상) 지상파방송사, 유료방송사,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423개

 ※ (내용) 매출액, 유료방송 가입자,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및 제작·구매비, 종사자 등

 ※ (수행기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 방송산업 개황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1년 대비

증감

증감률

방송산업 매출(원)

18조 118

19조 4,016

19조 7,579

3,563억

+1.8%

유료방송 가입자(단자)

3,479

3,577

3,630

53만

+1.5%

프로그램 제작·구매(원)

2조 8,819

3조 92

3조 2,492

2,400억

+8.0%

프로그램 수출(달러)

4억 9,154

4억 3,323

5억 6,129

1억 2,806

+29.6%

종사자

3만 7,133

3만 6,592

3만 7,015

423명

+1.2%

 

 

< 매출 현황 >

 

  2022년 우리나라 방송시장 규모는 방송매출액 기준 19조 7,5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하였다.

 

 

< 방송산업 매출액 추이(단위: 원)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1년 대비

증감

증감률

지상파(DMB포함)

3조 5,740억

3조 9,931억

4조 1,601억

1,669억

+4.2%

IPTV

4조 2,836억

4조 6,368억

4조 8,945억

2,577억

+5.6%

유선방송

(종합유선+중계유선)

1조 9,340억

1조 8,547억

1억 8,041억

△506억

△2.7%

위성방송

5,328억

5,210억

5,059억

△151억

△2.9%

PP

7조 742억

7조 5,520억

7조 6,096억

576억

+0.8%

IPTV CP

6,131억

8,440억

7,837억

△603억

△7.1%

합계

18조 118억

19조 4,016억

19조 7,579억

3,563억

+1.8%

 

 

  사업자 유형별로는 지상파방송사업자(DMB 포함이하 ‘지상파’)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제공사업자(이하 ‘IPTV)방송채널사용사업자(이하 ‘PP)의 매출은 증가하였으나유선방송위성방송 사업자(이하 ‘위성방송’)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파(DMB 포함)의 총 매출액은 4조 1,601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69억 원 증가(+4.2%)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증가 항목으로는 방송프로그램 판매 매출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드라마 판매 증가에 힘입어 약 1조 664억 원을 달성하며 전년 대비 17.8% 성장하였다.

 

 

< 지상파 방송사업매출액 구성 내역(단위: 원)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1년 대비

증감률

광고

1조 29억

1조 2,110억

1조 2,104억

△0.1%

방송프로그램 판매

7,821억

9,051억

1조 664억

+17.8%

기타*

1조 7,891억

1조 8,770억

1조 8,833억

+0.3%

합계

3조 5,740억

3조 9,931억

4조 1,601억

+4.2%

 

 * 텔레비전방송수신료(KBS수신료) 매출, 재송신 매출, 협찬 매출 등

 

  유료방송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7조 2,0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21억 원 증가(+2.7%)하였으나성장률 둔화세는 지속되었다.

 

   * IPTV, 위성방송,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이하 ‘SO’), 중계유선방송사업자(이하 ‘RO’)의 방송사업 매출액 합계

 

 

 

< 유료방송 매출액 성장률 추이 >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9.4%

9.1%

8.0%

5.7%

5.0%

3.9%

2.7%

 

 

  유형별로는 IPTV가 수신료, 홈쇼핑송출수수료 증가 등에 따라 4조 8,945억 원(+5.6%) 규모로 성장하였으며유선방송(종합유선+중계유선) 위성방송은 가입자 감소로 수신료 및 단말장치대여 실적이 저조하여 각각 1조 8,041억 원(△2.7%)5,059억 원(△2.9%)으로 집계되었다.

 

 

< 유료방송 방송사업매출액 구성 내역(단위: 원)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1년 대비

증감률

수신료

3조 6,126억

3조 6,585억

3조 7,055억

+1.3%

홈쇼핑송출수수료

2조 295억

2조 2,490억

2조 4,152억

+7.4%

기타*

1조 1,084억

1조 1,051억

1조  838억

△1.9%

합계

6조 7,504억

7조 125억

7조 2,045억

+2.7%

 

 * 광고 매출, 협찬 매출, 단말장치대여(판매) 매출, 가입 및 시설설치 매출 등

 

  PP의 총 매출액은 7조 6,096억 원으로 전년 대비 576억 원이 증가(+0.8%)한 것으로 집계되었다홈쇼핑을 제외한 PP의 매출액*은 3조 8,997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77억 원 증가(+4.5%)하였으며, 프로그램 제공(콘텐츠대가수익, +6.5%) 및 프로그램 판매(+34.3%) 매출 증가가 매출액 상승을 견인했다.

 

 * 종합편성(이하 ‘종편’) PP, 보도 PP, 일반 PP(일반데이터 PP 포함)의 방송사업 매출액 합계이며, 홈쇼핑 PP 및 데이터홈쇼핑 PP는 제외

 

  홈쇼핑PP(데이터홈쇼핑 포함)의 매출액은 3조 7,09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01억 원 감소(2.9%)하였다부문별로는 TV홈쇼핑 매출액이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3조 원을 밑돌았으며데이터홈쇼핑 매출액은 2022에도 소폭의 성장세(+0.9%)를 기록했으나 성장률은 크게 둔화되었다.

 

※ (TV홈쇼핑 성장률) (’19) 2.6% → (’20) △1.8% → (’21) △2.5% → (’22) △3.9%
(데이터홈쇼핑 성장률) (’19) 32.4% → (’20) 27.7% → (’21) 11.9% → (’22) 0.9%

 

 

 

< PP 방송사업매출액 구성 내역(단위: 원)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1년 대비

증감률

PP(홈쇼핑 제외)

3조 2,625억

3조 7,320억

3조 8,997억

+4.5%

 

광고

1조 4,637억

1조 6,912억

1조 6,363억

△3.2%

프로그램 제공

8,749억

9,390억

9,996억

+6.5%

협찬

4,283억

5,258억

5,167억

△1.7%

프로그램 판매

2,732억

3,077억

4,132억

+34.3%

기타*

2,224억

2,683억

3,339억

+24.3%

홈쇼핑PP

3조 8,117억

3조 8,200억

3조 7,099억

△2.9%

 

TV홈쇼핑

3조 942억

3조 171억

2조 8,999억

△3.9%

데이터홈쇼핑

7,176억

8,029억

8,100억

+0.9%

합계

7조 742억

7조 5,520억

7조 6,096억

+0.8%

 

 * 텔레비전방송수신료(KBS수신료) 매출, 재송신 매출, 협찬 매출 등

 

< 유료방송 가입자 현황 >

 

  유료방송 가입자는 3,630만 단자(22. 12월 기준)로 전년 대비 53만 단자가 증가(+1.5%)하였으나증가율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 (16) 6.2%  (17) 5.5%  (18) 3.5%  (19) 3.2%  (20) 2.9%  (21) 2.8%  (22) 1.5%

 

  유형별 가입자 수는 IPTV 2,067만 단자(+3.9%)종합유선(SO) 1,268만 단자(1.6%)위성방송 294만 단자(1.7%)중계유선(RO) 1만 단자(16.7%)로 집계되었다.

 

< 유료방송 가입자 수 추이(단위: 만 단자) >

 

 

<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 >

 

  2022년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는 3조 2,49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400억 원(+8.0%) 증가,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 (증감률) (’19) 6.5% → (’20) △11.0% → (’21) 4.4% → (’22) 8.0%

 

 

< 매체별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단위: 원) >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1년 대비

증감률

지상파(DMB포함)

1조 866억

9,717억

9,848억

1조 362억

+5.2%

PP

2조 775억

1조 8,370억

1조 9,362억

2조 1,214억

+9.6%

 

종합편성

5,018억

6,140억

6,126억

6,498억

+6.1%

SO

463억

407억

573억

538억

△6.2%

위성

7억

7억

6억

6억

+0.6%

IPTV

277억

318억

302억

371억

+22.9%

합계

3조 2,388억

2조 8,819억

3조 92억

3조 2,492억

+8.0%

 

 

< 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

 

  프로그램 수출액은 전년 대비 1억 2,806만 달러가 증가(+29.6%)한 5억 6,129만 달러로, 최초로 5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이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에 대한 드라마 수출 증가에 힘입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출 현황(단위: 달러) >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지상파

2억 1,333

2억 7,124

+27.1%

PP

2억 1,990

2억 9,005

+31.9%

합계

4억 3,323

5억 6,129

+29.6%

 

< 수입 현황(단위: 달러) >

구분

2021년

2022년

증감률

지상파

383만

82만

78.5%

PP

5,689만

7,211만

+26.8%

합계

6,072만

7,293만

+20.1%

 

 

  주요 수출 국가*는 일본(19.5%), 미국(8.1%), 중국(7.7%), 대만(3.4%)으로, 아시아 국가의 비중이 4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방송프로그램(완성품), 포맷 수출입 비중 기준이며, 해외교포방송지원, 타임블럭 등 기타 수출입 형태는 제외

 

※ 수입액은 7,293만 달러로 수출액의 약 1/8 규모이며, 주요 수입 국가는 미국(47.8%), 일본(46.3%)으로 미국과 일본의 비중이 90% 이상 차지

 

< 종사자 현황 >

 

  2022년 전체 방송산업 종사자 수는 3만 7,015 으로 전년 대비 423 명 증가(+1.2%)하여, ’20년 이후 감소하던 종사자 수가 증가로 전환되었다.

 

 

< 종사자 수 증감률 추이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종사자 수

37,288명

37,553명

37,133명

36,592명

37,015명

증감률

+1.3%

+0.7%

△1.1%

△1.5%

+1.2%

 

 

  사업자별로는 지상파(DMB 포함)가 13,483 (1.4%)유료방송*이 5,965 (+2.8%)PP가 17,567 명(+2.6%)으로 집계되었다.

 

  IPTV 1,113(전년대비 +194), 종합유선(SO) 4,422(전년대비 △34), 위성방송 387(전년대비 +8), 중계유선(RO) 43(전년대비 △6)

 

 

< 종사자 현황(단위: 명) >

 

 

  구체적인 실태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www.msit.go.kr), 방통위 방송통계포털(www.mediastat.or.kr), 정보통신정책연구원(www.kisdi.re.kr누리집에서 이용할 수 있다.

 

※ 본 조사는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방통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방통위)와 대상사업자수치 산정 기준 등이 다르므로일부 수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