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공개 소프트웨어(오픈소스)로 세상을 삼키다” 「2024년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자 대회」 개최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4-05-29

 

 

“공개 소프트웨어(오픈소스)로 세상을 삼키다” 

2024년 공개 소프트웨어 개발자 대회」 개최

- 총 상금 5,800만원, 과기정통부장관상 등 총 19점 시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이하 ‘과기정통부’) 신산업 혁신을 선도하는 창의적인 소프트웨어(SW) 인재 발굴‧육성 등 오픈소스(공개SW) 생태계 활성화 위한 「2024년 공개SW 개발자 대회」를 개최한다.

 

  ‘공개SW 개발자 대회’는 인공지능·빅데이터·클라우드 등 핵심 기술의 원천이 되는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SW를 개발하는 프로젝트 대회지난 17년간 5,000여팀(1만 3천여명)이 참여370여팀(1천명 이상)의 우수 프로젝트 팀을 배출하는 등 오픈소스 산업과 협업문화를 대표하는 대회로 자리 잡았다.

 

 올해 18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는 공개SW에 관심 있는 국민(학생일반인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5월 29일부터 7월 4일까지 온라인 접수(www.oss.kr)를 통해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과제 유형은 자유과제지정과제(기업형사회문제형)지속발전과제 3개이며, 참가자들의 개발역량 강화와 출품작의 완성도 제고를 위해 온라인 교육과 유명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개발자 등의 전문가 멘토링이 제공된다.

 

과제

과제 부문 설명

자유

과제

· 인공지능(AI), 빅데이터클라우드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보안/안전모바일 등 자유 공개SW 프로젝트

지정

과제

· (기업수요 기반기업수요(라온시큐어/메가존 클라우드/젠사젠기반의 지정 공개SW 프로젝트

· (사회문제해결국민생활과 밀접한 사회문제(생활/환경/안전/교육 등해결을 위한 공개SW 프로젝트

지속

발전

과제

· 본 대회 이전 출품작(본인 또는 타팀에서 제출한 프로젝트*)을 활용하여 성능향상비즈니스화 등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프로젝트    오픈소스 포탈(www.oss.kr)에서 확인가능

 

 

  각 참가자()은 출품작을 8월 28일까지 제출하고1차 서면평가 통해 40개 내·외의 결선 진출작을 선정이후 약 1개월 간 분야별 전문 멘토링 등 집중 지도를 통해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고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19개의 수상작 결정된다.

 

 

참가 신청

출품작 제출

1차 서면평가

멘토링

2차 발표평가

시상식

5.29.~7.4.

8.28.

9.4.~5.

9월∼10월

11.7.

12월 초

(예정)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최종 선정된 19개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함께 총 5,800만원의 상금 지원한다. 영예의 대상 수상자(팀)에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학생, 일반) 상금 각 1,000만원 수여된다.

 

< 2024년 공개소프트웨어 개발자 대회 시상 내역 >

 

구분

훈격

개수

상금

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학생1, 일반1)

각 1,000만원

금상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원장상

2(학생1, 일반1)

각 500만원

은상

개발자대회 조직위원장상

2(학생2, 일반2)

각 250만원

동상

후원기업상

10(학생/일반)

각 200만원

장려상

한국공개SW협회장상

2(학생1, 일반1)

각 100만원

지속발전상

한국공개SW협회장상

1(학생/일반)

총 100만원

  

19

총 5,800만원

 

 

  과기정통부 황규철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오픈소스가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전략 도구 부각되며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17년간 우수한 오픈소스 개발인력 양성에 기여해 온 본 대회가 더욱 의미 있는 해가 될 것이다”라며, “본 대회가 창의적인 인재 발굴과 우수 개발자 양성을 넘어 디지털 신산업 견인을 위한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대회 문의는 ‘2024년 공개소프트웨어 개발자대회’ 운영사무국(02-599-7917 / contest@oss.kr)과 카카오톡 ‘공개소프트웨어 개발자대회’ 채널에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