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2023년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3-07-14

 

 

2023년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입 동향

수출 160.6억불수입 114.5억불무역수지 46.1억불 흑자

- ‘23년 4월을 기점으로 ICT수출 감소 폭은 점진적 완화 추세 유지

 

 

23년 6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160.6억불수입은 114.5억불무역수지는 46.1억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반도체 업황 부진 지속역대 6월 중 최고 실적인 전년 동월(206.0억불)의 기저효과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1% 감소하였다다만, 6월 수출 감소율은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4월을 기점으로 수출 감소 폭은 완화되는 추세이다.

 

※ ICT 수출 감소율(%) : (’23.1) 33.2 → (2) 32.1 → (3) 32.2 → (4) 35.9 → (5) 28.5 → (6) 22.1

 

 

월별 ICT 수출액 추이(억불)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88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8pixel

 

 

 

월별 ICT 수출 증감률 추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e88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1pixel, 세로 288pixel

 

 

 

 

품목별로는 반도체(27.9%)디스플레이(11.1%)휴대폰(18.8%)컴퓨터·주변기기(48.7%)통신장비(3.3%) 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중국(홍콩 포함25.7%)베트남(11.3%)미국(32.6%)유럽연합(21.6%)일본(10.3%) 등이 감소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입액(114.5억불)은 정보통신산업(ICT) 수요 회복 지연에 따른 주요 부품(반도체 등) 수입 감소로 전년 동월(130.5억불) 대비 12.3% 감소하였다.

정보통신산업(ICT) 6월 수출 현황

 

 

□ 품목별 수출 실적 및 특징

 

 (반도체 : 89.9억불27.9%) 반도체 업황 부진에 따른 단가 하락* 지속되며 시스템(37.8억불9.6%) 및 메모리(47.7억불38.8%) 동시 감소

 

디램 단가 추이(8Gb, $) (’22.8~9)2.85 → (10~12)2.21 → (’23.1~3)1.81 → (4)1.45 → (5)1.40 → (6)1.36

 

- 다만시스템 반도체는 유럽일본 등의 수출 확대로 한 자릿수 감소로 축소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22.12)42.7(9.9) → (’23.1)29.0(25.0) → (’23.6)37.8(9.6)

 

** 6월 지역별 시스템 반도체 수출(억불, %) (유럽)1.0(58.9)(일본)0.8(95.2)

 

 (스플레이 : 15.9억불11.1%) 액정표시장치(LCD)(3.5억불, 19.5%) 국내 생산 중단 영향으로 지속 감소유기발광다이오드(OLED)(10.2억불6.7%)는 전방산업 수요 회복 지연으로 감소

 

* OLED 월별 수출(억불, %) : (’23.4)9.2(21.6) → (’23.5)10.6(6.6) → (’23.6)10.2(6.7)

 

** LCD 월별 수출(억불, %) : (’22.8)5.4(12.5) → (’22.9)3.5(27.3) → (’23.6)3.5(19.5)

 

 (휴대폰 : 7.8억불18.8%) 완제품(2.4억불46.9%)은 감소했으나하반기 주요 업체의 신제품 생산을 위한 부품 수요 확대로 부분품(5.4억불, 7.0%)은 증가 전환

 

휴대폰(부분품) 월별 수출(억불, %) (’23.3)5.7(34.4) → (’23.5)6.0(12.9) → (’23.6)5.4(7.0)

 

** 6월 지역별 부분품 수출(억불, %) (중국(홍콩 포함))3.2(12.7)(베트남)1.2(3.3)

 

 (컴퓨터·주변기기 : 8.7억불48.7%) 전자기기 및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SSD, 5.3억불60.4%) 수출이 감소

 

컴퓨터·주변기기 월별 수출(억불, %) (’22.6)16.9(13.4)→ (’22.7)12.1(21.9) → (’23.6)8.7(48.7)

 

** 6월 주요국 SSD 수출(억불, %) (중국(홍콩 포함))2.2(19.1)(미국)1.4(80.8)

 

 (통신장비 : 2.2억불3.3%) 베트남(0.4억불, 46.9%)인도(0.2억불, 55.6%) 등 통신 기반(인프라)이 확대되는 지역은 증가했으나글로벌 경기 둔화로 전체 통신장비는 감소

 

통신장비 월별 수출(억불, %) : (’23.2)2.1(0.7) (’23.3)2.4(9.3) (’23.6)2.2(3.3)

 

※ 중소 및 중견기업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현황(전년 동월 대비)

 

• (중소· 중견기업 45.6억불11.2%) 반도체(21.8억불20.0%)디스플레이(1.8억불1.6%)컴퓨터·주변기기(1.7억불16.8%) 등 감소

 

중소기업(14.6억불5.7%)은 반도체(2.3억불12.7%), 휴대폰(0.6억불5.2%), 컴퓨터·주변기기(1.3억불13.2%) 등 감소

 

□ 지역별 수출 실적 및 특징

 

 (중국<홍콩 포함> : 67.4억불25.7%) 고부가가치 부분품 위주의 휴대폰(3.3억불, 13.9%) 수출은 증가하였으나반도체(49.7억불29.8%)디스플레이(4.9억불30.3%)컴퓨터·주변기기(2.7억불25.2%) 등은 감소

 

* 중국 휴대폰 부분품 수출(억불, %) (’23.3)3.5(41.2) → (’23.5)4.0(15.7) → (’23.6)3.2(12.7)

 

중국(홍콩 포함) 수출(억불, %) (’22.5)87.9(1.4) → (‘22.6)90.8(2.6) → (‘23.6)67.4(25.7)

 

 (베트남 : 24.9억불11.3%) 전방산업 수요 회복 지연으로 부분품인 반도체(10.4억불19.6%)디스플레이(8.8억불5.2%) 등 감소

 

베트남 월별 수출(억불, %) (’22.7)31.0(5.6) → (’22.8)30.0(8.1) → (’23.6)24.9(11.3)

 

 (미국 : 19.7억불32.6%) 이차전지(4.9억불, 59.5%)는 증가하였으나반도체(5.2억불50.5%)컴퓨터·주변기기(2.2억불73.8%) 등은 감소

 

미국 수출(억불, %) (’22.9)26.8(3.6) → (’22.10)20.4(14.2) → (’23.6)19.7(32.6)

 

 (유럽연합 : 9.7억불21.6%) 반도체(2.3억불, 23.7%)는 증가하였으나휴대폰(1.3억불58.9%)컴퓨터·주변기기(1.1억불44.0%) 등은 감소

 

유럽연합 수출(억불, %) (’22.8)10.4(4.6) → (’22.9)10.9(0.1) → (’23.6)9.7(21.6)

 

 (일본 : 3.7억불10.3%) 반도체(1.3억불, 7.2%)는 증가하였으나컴퓨터·주변기기(0.6억불41.5%)디스플레이(0.1억불19.2%) 등 감소

 

일본 수출(억불, %) (’22.9)4.4(18.2) → (’22.10)3.6(5.3) → (’23.6)3.7(10.3)

 

정보통신산업(ICT) 6월 수입 현황

 

 

□ (품목별) 반도체(54.0억불19.3%)컴퓨터· 주변기기(10.8억불18.4%)휴대폰(5.3억불16.8%)디스플레이(4.0억불11.3%) 등 감소

 

□ (지역별) 일본(11.7억불, 9.3%)베트남(9.3억불, 8.4%)은 증가중국(홍콩 포함, 42.6억불26.1%)대만(15.3억불26.9%)미국(6.8억불10.9%) 등 감소

정보통신산업(ICT) 상반기 수출입 현황

 

 

□ 23년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ICT 수요 감소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업황 부진상반기 역대 최고 실적인 전년 동기(1,224.6억불)의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30.6% 감소한 849.5억불 기록

 

 (품목별) 물가 상승금리 인상 등 경제 여건 악화로 소비자 ICT 기기 수요 둔화 및 기업의 투자 축소 동반되며 ICT 수출 품목 전반이 감소

 

(반도체) 업황 부진으로 22.8월 이후 11개월 연속 하락하였으며 우리 주력 품목인 메모리의 재고 누적단가 하락 연쇄로 36.8% 감소한 439.3억불 기록

 

* 상반기 세부 품목별 수출(억불, %) : (메모리) 213.7(49.7), (시스템) 197.6(17.5)

 

(디스플레이) 국내 기업의 LCD 사업 철수 및 TV, 스마트폰 등 전방 산업 소비 부진 영향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은 30.6% 감소한 88.1억불 기록

 

* 상반기 세부 품목별 수출(억불, %) : (LCD) 18.6(40.5), (OLED) 56.6(23.3)

 

(휴대폰) 소비심리위축교체주기 장기화 등으로 21.1% 감소한 57.7억불 기록

 

* 상반기 세부 품목별 수출(억불, %) : (완제품) 16.6(36.3), (부분품) 41.1(12.6)

 

○ (지역별) 주요국 전반이 두 자릿수 감소를 기록하였으며특히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내수 부진 및 생산 축소 지속이 수출 감소폭을 확대

 

지역별 상반기 수출(억불, %) : (중국) 345.6(36.5), (베트남) 142.6(22.8), (미국) 105.6(31.2), (유럽연합) 55.1(27.0), (일본) 20.4(12.2)

 

□ 23년 상반기 정보통신산업(ICT) 수입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ICT 수요 감소 중간재인 반도체, 최종재인 휴대폰 등이 감소하며 8.4% 감소한 682.0억불 기록

 

○ (품목별) 반도체 단가 하락 등이 수입 감소폭 확대하였고경기 부진에 따른 소비심리 약화로 휴대폰컴퓨터 등의 수입 감소도 동반

 

품목별 상반기 수입(억불, %) : (반도체) 309.6(13.6), (컴퓨터·주변기기) 77.8(15.5), (휴대폰) 36.6(16.5), (디스플레이) 20.5(24.6)

 

 (지역별) 반도체컴퓨터·주변기기 등의 최대 수입국인 중국대만이 두 자릿수 감소하며 전체 수입 감소폭을 증가

 

지역별 상반기 수입(억불, %) : (일본) 60.9(0.1), (중국(홍콩포함)) 281.8(13.7), (대만) 96.3(11.4), (베트남) 58.2(9.9), (미국) 39.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