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디지털 시대의 주인공이 될 100만 인재를 양성합니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8-23

 

디지털 시대의 주인공이 될 100만 인재를 양성합니다.

- 22일 국무회의서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보고 -

 

 

 

 

□ (인재 양성) 2022년부터 2026년까지 총 100만 명 디지털 인재양성

   △ 초급 16만 명△ 중급 71만 명△ 고급 13만 명

□ (저변 확대초‧중등 정보교육(컴퓨터언어‧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교육) 확대

   △ 정보교과 수업시수 2배 이상 편성△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방학중(방과후캠프 확산

□ (기반 구축교원‧교수 확보 및 전문성 강화 지원디지털 친화 교육환경 조성

 

□ 정부는 전 국민의 디지털 교육 기회 확대와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2022부터 2026년까지 총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이하종합방안)’을 마련하였다.

    ※ 국정과제 81.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 종합방안에 따라 디지털 산업계에서 활약할 전문인재부터인문‧사회계열 등 각자의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인재그리고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에 친숙한 인재 등 수준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정책들이 범부처에서 다양하게 추진될 계획이다.

 ㅇ 이와 함께미래세대의 디지털 친숙도를 제고하고 디지털 인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초‧중등교육 단계부터 정보교육이 대폭 강화될 예정으로, 국민 누구나 각자의 필요에 따라 디지털 역량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정부는 종합방안 마련을 위해 기업학교 등 현장 방문과 다양한 협의체 통해 산업계‧교육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문가들과 폭넓은 토론을 거쳤으며,

 

  직업계고 인재양성 현장 방문(국무총리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 첨단산업 인재양성 특별팀 운영(팀장교육부 차관), 디지털 인재양성 100인 토론회(교육부 차관),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간담회(과기정통부 제2차관) 등

 ㅇ 관계부처가 함께 마련한 종합방안을 8월 22(국무회의에서 보고하여 향후 5년간 정부와 교육계산업계가 모든 역량을 결집해 추진해 나갈 이행계획을 확정했다.

 

<참고> 디지털 인재와 디지털 신기술

❚ 디지털 인재디지털 신기술을 개발‧활용‧운용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역량을 갖춘 인재

❚ 디지털 신기술인공지능일반 SW(블록체인 포함), 빅데이터메타버스(AR, VR 포함), 클라우드사물인터넷, 5G6G, 사이버보안 [출처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 추진배경 및 정책방향 】

□ 디지털 기술의 빠른 성장으로 산업을 비롯한 전 사회 분야에서 디지털 인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가적 지원이 시급하며인재양성의 주체인 교육 현장의 디지털 대전환의 요구도 함께 증대되고 있다.

□ (수급 규모디지털 분야의 인재양성 규모는 2021년 정부 재정사업 기준 약 9만 9천 명(석․박사급 약 1만 7 )이고향후 5(2022~2026)간 인재 수요는 약 73만 8 (초급 9중급 52고급 12.8 )으로 예상된다.

 ㅇ 특히디지털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일반산업 분야 및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어 그 수요는 더 커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 (중등 디지털 교육소프트웨어(SW)교육 필수화(2018) 이후에도 교육계와 산업계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기초소양 함양을 위해 정보교과 등 디지털 교육 강화의 필요성을 지속해서 제기하고 있다.

□ 이러한 정책 상황에 대응해 첨단 디지털 산업 현장에서 일상생활에까지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를 민학이 양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과제를 발굴하였다.

 ㅇ 추진 방향은 첫째다양한 수준의 100만 디지털 인재를 양성한다둘째국민들의 디지털 친숙도 제고와 역량 함양을 위해 디지털 교육의 저변을 확대한다셋째디지털 인재양성 과제들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교육체제로 대전환을 추진한다주요 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주요 정책 】

 

100만”은 전문인재 양성뿐만 아니라 전 국민이 삶과 전공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상징적 목표이면서 동시에 향후 5년간(2022~2026)의 인재양성 목표

 

 

1 고도화된 디지털 전문인재

 

100만 명 양성

(목표)

 

 

 

 

2 전공(도메인)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인재

 

 

 

 

 

3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재

 

 

 

 

4 교양 차원의 디지털 이해 제고

 

저변 확대

 

 

 5 디지털 배지 및 재능사다리

 

 

1 고도화된 디지털 전문인재

 ㅇ (제도 유연화지난 7월 19()에 발표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에서 제시된 고등교육 규제개혁과제*와 계약학과 관련 사항은 디지털 분야에도 적용된다.

   첨단분야학과 신․증설 및 대학원 정원기준 유연화박사 통합과정 및 계약정원제 도입 등

 ㅇ (선도대학디지털 혁신공유대학(~2026. 21개 분야 목표)‘소프트웨어(SW)중심대학’ (2027. 100개교 목표), ‘신산업특화 전문대학’(~2026. 21개 분야 목표) 사업을 확대해 디지털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디지털 첨단분야 전공자를 지속해서 확대할 계획이다.

 ㅇ (연구중심 인재4단계 두뇌한국21(Brain Korea21) 사업을 통해 신산업분야 신진연구인력을 육성하고, 인공지능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사이버보안, 빅데이터 등 디지털분야 대학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b438a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4pixel, 세로 157pixel

 ㅇ (연구지원) 연구 인프라 전문화 추진을 통해 ‘정보통신기술(ICT)․융합’ 분야 연구를 지원하고대학정보통신기술(ICT)연구센터’를 디지털 전략기술 중심으로 재편(~2027. 80개 목표)한다.

 ㅇ (영재 육성영재학교․과학고 대상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2022. 시범)하고영재학급도 확대 운영(2025. 70)한다디지털 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도 확대(현 6개교 → 권역별 1~2개교 운영)하고디지털분야 취업맞춤특기병을 확대해 병역 중 역량을 지속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2 전공(도메인)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인재

 ㅇ (융합과정인문‧사회 등 다양한 전공과 디지털 기술의 융합역량 향상 지원을 위해 대학-민간 연계 집중 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 도입(2023~)하고융복합 능력 배양학사제도 유연화를 위한 대학 혁신을 지원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88c0010.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3pixel, 세로 94pixel

 ㅇ (재직자 전환교육시도별 우수 전문대학을 직업전환교육기관(DX-academy)으로 지정․운영하고고경력 은퇴자 등을 디지털 전환 전문가로 육성하며다양한 산업분야 재직자 대상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훈련*을 확대 제공한다.

    지원대상 산업분야고용부(29), 과기정통부(12), 산업부(11), 중기부(5)

 ㅇ (기업연계기업이 주도가 되는 다양한 디지털 교육과정운영을 지원하고자체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 기업을 ‘디지털 선도(리더스클럽’으로 인증해 혜택(인프라 지원정부 연구개발(R&D)사업 가점 등)을 부여한다.

    ‘캠퍼스 소프트웨어(SW)아카데미’(기업‧대학 협력, 2022. 200), ‘네트워크형 캠퍼스 소프트웨어(SW)아카데미’(지자체‧대학‧산업계 등 연합, 2022. 350), ‘기업 멤버십 소프트웨어(SW)캠프’(중소·벤처기업이 교육부터 채용까지 연계, 2022. 600),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자기주도형, 2022. 750), ‘이노베이션 스퀘어’(5대 권역, 2022. 7,310

 ㅇ (취업준비생 직업훈련폴리텍대학 내 디지털 직업훈련(하이테크) 과정을 운영(2022. 1,230)하고민간주도 직업훈련(K-Digital Training)도 확대(2022. 28.5 )한다.

3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재

 ㅇ (대학 수준의 디지털 교양과정대학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대학의 자율적인 디지털 혁신(교양교육인공지능(AI)튜터링 등)을 지원하고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 내 디지털 등 신기술 분야 강좌를 제공(2022. 138)한다.

 ㅇ (디지털 평생학습소프트웨어(SW)동아리 등 자발적 학습공동체를 활성화(2023~)하고특히, 병사 복무 중 자기개발과 전역후 취․창업 지원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SWAI) 온라인 교육을 제공(2022~2026. 5 )한다.

 

 ◈ 기대효과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78c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8pixel, 세로 232pixel

【 ‘디지털교육 저변 확대’를 위한 주요 정책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368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8pixel, 세로 173pixel

□ (정보교육 확대수업시수 확대*정보선택과목 도입()학교장 개설과목 확대(중‧고), 컴퓨터언어(코딩)교육 필수화(초‧중)소프트웨어‧인공지능 융합교육 활성화를 통해 보편적 공교육 내에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초등학교 34시간중학교 68시간 이상 편성 (2022. 확정 → 2025. 적용)

 ㅇ 인공지능(AI) 융합교육 중심고(~26. 180)방학 중(방과후) 디지털(SWAI) 캠프 지원, (가칭)온라인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과정 지원으로 지역과 학교의 범위를 넘어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기회를 다각도로 확대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7c4000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9pixel, 세로 87pixel

□ (디지털 기초역량성인 디지털역량 진단조사를 실시(2024. 3년 주기)하고 문해교육을 강화하며디지털 문제해결 센터를 통해 학생과 지역민에 디지털 교육을 제공(2023~)하고교육소외지역 학교(농어촌 초등 1,800개교)에 디지털 튜터를 배치(2022~)한다.

□ (디지털 배지 및 재능사다리디지털 교육·경험·자격 이력을 증명하는 ‘디지털배지’의 활용‧확산을 지원하고디지털 분야 전문인재로 체계적 성장을 지원하는 ‘재능사다리’(진로상담후속과정 우선선발권 등)를 구축한다.

 

 ◈ 기대효과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08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1pixel, 세로 216pixel

【 ‘디지털 교육체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주요 정책 】

□ (교원교수다양한 정보교과 교원을 활용하고 중장기적으로 필요 정원을 반영하며대학 교수로 민간전문가(재직자퇴직자비정규 교육기관 교‧강사해외교원 등) 활용하기 위한 규제 개선지원책 마련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추진한다.

 ㅇ (재교육 지원융합역량 향상과 순회교사 해소 등을 위해 정보‧컴퓨터 부전공 교원을 지속 확대하고인공지능(AI) 융합교육 연수 대상을 확대(~2027. 7 )하며대학 교수 대상 국내‧외 장기연수 이수체계를 개발‧지원(2024)한다.

 ㅇ (양성 혁신‘교직과목 세부이수기준’에 디지털 소양 함양 기준을 반영하고디지털 역량 함양 (예비)교원 양성을 위한 추진체계(AIEDAP*)를 구축운영(2022~)한다.

    AEduction Alliance & Policy Lab(아이에 답, 미래교육과 디지털 교육혁신으로 아이들의 미래 삶과 궁금증에 답한다)

□ (에듀테크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 시스템(인공지능 보조교사(초중등), 인공지능 튜터링(대학))을 지원(2024~)하고디지털 교과서 및 콘텐츠(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를 지속 확대·보급한다.

□ (디지털 교육환경「인공지능교육진흥법」과 「교육분야 인공지능 윤리기준」을 마련하고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통합 플랫폼 및 마이포트폴리오(디지털 배지 연계)를 구축하며스마트학교* 조성학생별 노트북(태블릿) 등을 지속 지원한다.

    * 5년간(20212025) 2,835동 조성 계획

【 지원 체계 】

□ 디지털 인재양성 정책과 사업‧연구를 총괄 지원하는 전문기관을 설립(지정)하고디지털 인재 연합체(얼라이언스)를 구성해 민‧관 개방형 연계를 강화하며우수 유학생과 해외 인재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도 병행할 예정이다.

   ※ 범부처 협업체계(사회관계장관회의인재양성 전략회의 등)를 통해 추진상황 지속 점검 및 필요시 보완대책 마련(2022~)

 

□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전 사회 분야에서 활약할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하고,

 ㅇ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살아갈 모든 국민이 기초소양으로서 디지털 역량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교육 체제 내에서 디지털 친화적 인재를 적극 양성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