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한수원은 원전기업들의 인증 유지·취득을 지원하기 위해 인증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을 확대(’19.4)하였음
◇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원전 안전운영과 핵심 생태계 유지에 문제가 없도록 보완대책을 지속 추진하겠음
◇ 1.23일 서울경제 <부품업체 ‘수주 절벽’... 원전 생태계 고사 위기>, <납품 인증·유지비만 1억... 경영난에 ‘원전 노하우’ 스스로 포기> 기사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 드립니다.
1. 기사내용
□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기업들이 원자력품질보증자격인증(KEPIC)을 속속 포기하고 있으며, 신규 심사도 줄어들고 있음
|
’15년 |
’17년 |
’19년 |
인증서 보유 업체
(중소기업) |
222개사
(145) |
210개사
(140) |
186개사
(121) |
인증 심사(신규) |
32건 |
13건 |
10건 |
□ 국내 원전 부품 조달 생태계가 망가져 해외에서 공급 받을 경우, 납기지연·비용상승·안전성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2. 동 보도내용에 대한 산업부의 입장
□ 정부와 한수원은 에너지전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전기업들의 인증 유지·취득을 지원하기 위해 비용 지원을 확대(’19.4)하고 있음
ㅇ 특히, KEPIC 인증과 관련, 지원기업수는 점차 늘고 있으며, 지원금액도 기존 2.5천만원 한도에서 전액지원으로 확대
< 한수원 유자격 등록 및 KEPIC 인증 지원 확대 (’19.4) >
|
유자격 등록 |
KEPIC 인증 |
기존 |
변경 |
기존 |
변경 |
지원 선정기업 수 |
’17년 14개
’18년 19개 |
’19년 28개 |
’17년 13개
’18년 26개 |
’19년 32개 |
지원
금액 |
순수 취득비용 |
2천만원 |
전액지원
(평균 2.2천만원) |
2.5천만원 |
전액지원
(평균 3천만원) |
컨설팅비용 |
2천만원(차등) |
□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원전 안전운영과 핵심 생태계 유지에 문제가 없도록 보완대책을 지속 추진하겠음
ㅇ ’20년부터는 한수원의 공급자 관리 체계를 강화하여 핵심 예비품 및 공급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지원을 추진하고,
- 단종 예상품목 사전관리, 일반규격품 품질검증 제도* 등을 통해 단종 발생 가능성에도 철저히 대비하겠음
* 공급사 품질보증 프로그램 포기 등으로 Q등급(안전성 등급) 부품조달이 어려울 경우, 일반규격품에 대한 품질검증을 통해 대체부품을 조달하는 제도
ㅇ 또한, 전주기 수출 추진, 안전투자 확대, 해체물량 조기발주 등을 통해 원전기업들의 일감확보를 지원하는 한편,
* (수출) 대형원전 중심에서 기자재·운영·서비스 등으로 수출 포트폴리오 다변화
* (안전투자) ’22년까지 기존계획 대비 +0.8조원의 장기가동원전 안전설비 보강
* (해체) ’30년까지 약 1.6조원 해체물량 발주, 원전해체 연구소 구축 등
- 금융·R&D 지원 등을 통해 업계 경영애로 해소를 위해서도 노력할 예정
* (금융) 대출금리 감면(최대 3.3%p), 보증보험을 통한 대출 프로그램 마련 등
* (R&D) ’18~’22년 원자력 R&D를 ’13~’17년 대비 3,000억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