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시대, 기상위성 기술 도약으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진다! - 과기정통부·기상청, ‘천리안위성 5호’개발을 위한 예타선정에 박차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와 기상청(청장 박광석)은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시스템(이하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선정 절차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 (국가재정법 제38조) 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 신규사업에 대하여 과학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을 조사,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
○ 우리나라의 국가안보 및 국민안전 확보, 기후위기 시대 대응 등을 위한 기상관측은 현재 천리안위성 2에이(A)호가 담당하고 있으나, 천리안위성 2에이(A)호는 2029년 임무가 종료될 예정이다.
○ 이에 따라, 천리안위성 5호는 천리안위성 2에이(A)호의 임무를 승계 받아 2029년 발사하여 2039년까지 10년 간 운영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서는 2023년부터 7년 간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 천리안위성 5호 사업은 5,980억 규모로 △위성체, △기상 및 우주기상 탑재체, △지상국 시스템 및 활용기술 등을 개발할 예정이며, 국내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역량 함양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천리안위성 5호는 신속한 감시와 예측을 통해 초강력 태풍과 돌발성 호우, 산불 등의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고, 이상기후 대응을 위해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위성정보를 생산할 예정이다.
○ 해당 위성은 한반도를 2분 간격으로 연속 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초단기적 위험기상 탐지와 예측이 가능하고,
- 현재 운영 위성에 비해 산불탐지 능력이 4배로 확대됨에 따라 축구장 면적의 강한 산불도 조기에 탐지해 정보제공이 가능하며, 태양폭발에 의한 위성항법, 항공운항, 전력망 등에 미치는 우주기상 영향의 예‧특보도 가능해진다.
○ 또한, 천리안위성 에이(A)호에서 관측이 어려웠던 구름 아래와 주‧야간 불연속 문제 등을 해소하고, ‘태양 엑스(X)선 관측센서’의 독자개발을 통해 태양폭발 탐지 소요시간 단축도 대폭 향상(최대 1시간 → 8분으로 단축)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그리고, 천리안위성 5호 개발을 통해 7,300억원 수준의 우주산업 분야 생산유발 및 부가가치 창출, 1천명 이상의 우주개발 전문인력 확대와 5천 6백명 이상의 고용 유발효과를 창출하고, 운영을 통해 8,000억원 이상의 위험기상 피해액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국가 경제와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천리안위성 에이(A)호 임무가 종료되기 전, 안정적인 기상위성 임무 승계와 기상위성 기술 도약을 위해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에 선정되어 2023년부터 본 사업이 정상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시스템 개발사업 내용
❍ 사업기간: ’23~’29(7년, 궤도상 시험 기간 포함)
❍ 사업내용: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시스템 개발사업
❍ 사업주관/협력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기상청
❍ 부처별 역할: [과기정통부] 사업 총괄 주관, 위성체 및 시스템 개발
[기상청] 기상탑재체 및 지상국, 활용기술 개발
❍ 사업규모: 총 사업비 5,980억원(출연금)
(단위: 억원)
총 예산 | 기상‧우주기상 탑재체 | 위성체 | 발사 및 보험 | 지상국 (활용기술 포함) |
5,980 | 1,992 | 2,029 | 950 | 1,009 |
□ 후속위성 개발 일정
❍ ('20∼'22년) 기획연구, 예비타당성 조사 및 사전연구
❍ ('23∼'29년) 위성체, 탑재체, 지상국, 알고리즘 개발, (`29) 발사 및 궤도상시험
❍ ('29∼'39년) 정식운영 및 서비스, (`39년) 임무 종료
<후속 정지궤도 기상위성 개발 일정> | ||||
사업 준비 | 개발 및 시험 | 정식 운영 및 서비스 | 임무 종료 | |
위성 및 지상국 개발 | 궤도상 시험 | |||
2020~2022. (3년) ※ 예타: ’21~’22 | 2023.~2029.(7년) ※발사: ’29년 상반기 | 2029. (8개월) | 2029.~2039.(10년) ※ 산출물/활용 기술개발은 ’30년 완료 | 2039. |
□ 예상성과 및 기대효과
❍ 실시간 위험기상 탐지능력 강화로 기상재해 저감에 기여
❍ 한반도 중심 위성기반 기후 DB 구축으로 기후위기 시대 대응력 강화
❍ 우주기상 위험 예‧특보 능력 강화로 위성 장애 조기 예측 및 영향 최소화
❍ 수요 기반의 기상위성 정보제공 및 사용자 확대로 관련 산업 성장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