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과기정통부·기상청, ‘천리안위성 5호’ 개발을 위한 예타선정에 박차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10-21

 

 

기후위기 시대,

기상위성 기술 도약으로 국민의 안전을 책임진다!

- 과기정통부·기상청, ‘천리안위성 5호’개발을 위한 예타선정에 박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이하 ‘과기정통부’) 기상청(청장 박광석)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시스템(이하 ‘천리안위성 5호’) 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대상선정 절차가 진행 이라고 밝혔다.

 

   * (국가재정법 제38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의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 신규사업에 대하여 과학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을 조사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

 

  우리나라의 국가안보  국민안전 확보기후위기 시대 대응 등을 위한 기상관측 현재 천리안위성 2에이(A)호가 담당하고 있으나천리안위성 2에이(A)호는 2029 임무가 종료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천리안위성 5 천리안위성 2에이(A)호의 임무를 승계 받아 2029 발사하여 2039년까지 10  운영 예정이며이를 해서는 2023년부터 7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 상황이다.  

 

   천리안위성 5 사업은 5,980 규모로 △위성체△기상  우주기상 탑재체△지상국 시스템  활용기술 등을 개발할 예정이며, 국내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역량 함양에  기여를  것으로 보고 있다.

 

 천리안위성 5 신속한 감시와 예측 통해 초강력 태풍과 돌발성 호우산불 등의 기상재해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고이상기후 대응 위해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위성정보를 생산 예정이다.

 

  해당 위성은 한반도를 2 간격으로 연속 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초단기적 위험기상 탐지와 예측이 가능하고,

 

   현재 운영 위성에 비해 산불탐지 능력이 4배로 확대됨에 따라 축구장 면적의 강한 산불도 조기에 탐지 정보제공이 가능하며, 태양폭발 의한 위성항법항공운항전력망 등에 미치는 우주기상 영향의 예‧특보도 가능해진다.

 

  또한천리안위성 에이(A)에서 관측이 어려웠던 구름 아래와 주‧야간 불연속 문제 등을 해소하고‘태양 엑스(X) 관측센서’의 독자개발  양폭발 탐지 소요시간 단축도 대폭 향상(최대 1시간  8분으로 단축)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천리안위성 5 개발 통해 7,300억원 수준 우주산업 분야 생산유발  부가가치 창출1천명 이상의 우주개발 전문인력 확대와 5 6백명 이상의 고용 유발효과 창출하고운영 통해 8,000억원 이상의 위험기상 피해액 저감 효과를 얻을  있어 국가 경제와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권현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천리안위성 에이(A) 임무가 종료되기 안정적인 기상위성 임무 승계 기상위성 기술 도약 위해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에 선정되어 2023년부터  사업이 정상 추진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시스템 개발사업 내용

 

   사업기간: 23~29(7, 궤도상 시험 기간 포함)

   사업내용: 정지궤도 기상‧우주기상 위성시스템 개발사업

   사업주관/협력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기상청

   부처별 역할: [과기정통부] 사업 총괄 주관, 위성체  시스템 개발

                 [상청] 기상탑재체  지상국, 활용기술 개발

   사업규모:  사업비 5,980억원(출연금)

(단위억원)

 

총 예산

기상‧우주기상 탑재체

위성체

발사 및 보험

지상국

(활용기술 포함)

5,980

1,992

2,029

950

1,009

 

 

 후속위성 개발 일정

 

   ('20'22) 기획연구, 예비타당성 조사  사전연구

   ('23'29) 성체, 탑재체, 지상국, 알고리즘 개발, (`29) 발사  궤도상시

   ('29'39) 정식운영  서비스, (`39) 임무 종료

 

<후속 정지궤도 기상위성 개발 일정>

사업 준비

개발 및 시험

정식 운영 및 서비스

임무

종료

위성 및 지상국 개발

궤도상

시험

2020~2022.

(3)

※ 예타21~22

2023.~2029.(7)

※발사29년 상반기

2029.

(8개월)

2029.~2039.(10)

※ 산출물/활용 기술개발은 ’30년 완료

2039.

 

 

 예상성과  기대효과

 

   실시간 위험기상 탐지능력 강화로 기상재해 저감에 기여

   한반도 중심 위성기반 기후 DB 구축으로 기후위기 시대 대응력 강화

   우주기상 위험 예‧특보 능력 강화로 위성 장애 조기 예측  영향 최소화

   수요 기반의 기상위성 정보제공  사용자 확대로 관련 산업 성장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