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1회 감염병특별위원회 개최 - 국가 감염병 연구개발 추진체계 고도화 논의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9월 16일(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감염병특별위원회(이하 “감염병특위”) 제1차 회의를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감염병특위는 감염병 대응 전주기에 걸쳐 과학기술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기초․기전, 진단․임상, 백신․치료제, 동물감염병 분야의 민간 전문가 13명과 정부위원 7명 등 총 20명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 위원장 :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제1회 특위에서는 「감염병특별위원회 운영방안 및 운영세칙(안)」을 심의하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중장기(’21~’25) 발전계획(안)」을 보고받았다.
ㅇ 사전검토 안건으로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 (’22~’26)」을 논의하였으며, 동 안건은 향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0월)에 상정될 예정이다.
[안건 주요내용]
□ 감염병특별위원회 운영방안 및 운영세칙(안)
ㅇ 감염병특위는 감염병 연구개발 정책을 종합·조정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에 설치되었으며,
-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위원장으로 5개부처 실장급 정부위원 6인과 민간위원(위촉직) 13인* 등 총 20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 인체(인수공통 포함)와 동물 분야로 구분, 산(2)․학(4)․연(3)․병(4)
ㅇ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주요 정책을 심의․조정하고,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산․학․연․병 협력체계 구축을 지원함으로써
-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인 국가 연구개발 역량를 결집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중장기(’21~’25) 발전계획(안)
ㅇ 신·변종 감염병 대응을 위해 바이러스의 실체 규명 등 기초연구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기초과학연구원 내에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이하 ‘바이러스(연)’)이 설립되었다.
ㅇ 바이러스(연)은 ①신변종 연구센터, ②면역 연구센터, ③구조분석·플랫폼 연구센터 등 3개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세계적 수준의 바이러스 기초연구 역량을 확보하고,
- 질병관리청 소관의 국립감염병연구소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기초·원천연구 성과가 응용·방역 연구로 연계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ㅇ 또한 바이러스 기초연구 생태계 강화를 위해 기초분야 연구기관 간 협의체 구성‧운영, 국내회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 개방형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 운영, 바이러스 자원뱅크 구축 등 기초연구자들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지원해나갈 예정이다.
□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앞으로 또다시 발생할 수 있는 글로벌 감염병 위기에 대비하여 지금보다 더욱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나가야 한다”면서, “감염병 특위를 통한 범부처 연구개발 협력을 통해 국가 감염병 대응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1 |
| 감염병특별위원회 위원 명단 |
구분 | 소 속 | 직 책 | 성명 |
위원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혁신본부장 | 이경수 |
정부위원 (6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혁신조정관 (간사위원) | 오태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개발정책실장 | 고서곤 |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정책실장 | 이기일 | |
농림축산식품부 | 기획조정실장 | 김종훈 | |
질병관리청 | 국립보건연구원장 | 권준욱 | |
식품의약품안전처 | 차장 | 김진석 | |
민간위원 (13명) |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 교수 | 오종원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교수 | 박만성 | |
한국화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김미현 | |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 교수 | 백경란 |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교수 | 오명돈 |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 교수 | 최원석 | |
카톨릭대학교 생명공학부 | 교수 | 남재환 | |
국제백신연구소 | 사무차장 | 송만기 |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책임연구원 | 류충민 |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 이사 | 지동현 | |
연세대학교 감염내과 | 교수 | 염준섭 | |
서울대학교 수의학과 | 교수본부장 | 유한상 | |
옵티팜 | 대표 | 김현일 |
붙임 2 |
| 안건 요약 |
[1호] 감염병특별위원회 운영방안 및 운영세칙(안) |
□ 추진 배경
ㅇ 감염병 연구개발 정책을 종합·조정하기 위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에「감염병특별위원회」를 설치
□ 구 성
ㅇ (위원장) 과학기술혁신본부장
ㅇ (위원) 민간위원(위촉직) 13인* 및 5개 부처 실장급 정부위원(당연직) 6인
* 인체(인수공통 포함)와 동물 분야로 구분, 산(2)․학(4)․연(3)․병(4)
□ 주요 기능
ㅇ 범부처 감염병 연구개발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주요 전략의 심의․조정
ㅇ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산․학․연․병 협력체계 구축
□ 운영 방향
ㅇ 감염병 대응 기초인프라의 강화와 위기 발생 시 즉각적인 국가 연구개발 역량의 결집을 통한 문제해결이 가능한 연구개발 시스템 구축
- 기초․기전, 예측, 백신 분야의 기술 고도화, 방역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지원, 재확산 방지를 위한 과학적 근거기반 마련 등 추진
ㅇ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경험이 안정적 성과로 남을 수 있도록 감염병(연)․바이러스기초(연) 등 국가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민관 협업체계를 구축
[2호]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중장기(’21~’25) 발전계획(안) |
□ 추진배경
ㅇ 신·변종 감염병 출현이 가속화 되어 바이러스 실체 규명 등 기초연구 필요성 부상에 따라 바이러스(연) 설립(`21.7.)
ㅇ 장기적 관점의 기초·원천 분야 연구방향 설정 및 국가 연구개발 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바이러스(연) 중장기 운영계획 수립
□ 중점 추진과제
❶ (추진과제1) 국가 감염병 연구개발 거버넌스 협력
ㅇ (연구개발협력) 기초·원천연구 성과가 응용·방역 연구로 연계되고, 응용·임상 연구·방역기관 수요를 반영하여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선순환 체계 구축
- 감염병 연구개발 수행 기관으로 구성되는 ’감염병 연구기관 협의체‘에 참여하여 기초·원천 연구성과가 방역·응용 연구로 연계되도록 협력(`21)
ㅇ (위기대응) 감염병 관련 연구·방역기관 협력을 통해 감염병 발생 시 즉각 가동할 수 있는 신속 대응체계 마련·지원
❷ (추진과제2) 바이러스 기초·원천 연구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
ㅇ ①신변종 연구센터, ②면역 연구센터, ③구조분석·플랫폼 연구센터 등 3개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세계적 수준의 바이러스 기초연구 역량 확보
- (신·변종 바이러스 연구센터) 미래 감염병 대응 기반이 되는 바이러스 증식‧전파 기전 연구 수행
-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면역학적 기전 규명 및 치료반응 연구
- (바이러스 구조분석·플랫폼 연구센터) 바이러스 예측 플랫폼 및 범용백신 개발을 위한 기전연구
❸ (추진과제3) 바이러스 연구자원센터 구축 및 운영
ㅇ (구축계획) 연구시설 공동활용을 위한 개방형 생물안전 3등급 연구시설*과 연구자원 제공을 위한 바이러스 자원뱅크 구축(~`22)
* 바이러스(연) 본원(대전)에 BL3 1실, ABL3 1실, 한국파스퇴르(연)은 판교에 BL3 4실, ABL3 4실, 스크립스연(강원)에 BL3 1실 등 총 11실 구축
- 바이러스(연)이 총괄 운영기관으로, 한국파스퇴르(연),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이 공동 운영기관으로 참여
ㅇ (주요기능) 바이러스‧검체 등 연구자원을 확보하여, 대학‧기업‧연구기관에 제공하고, 핵심연구시설(BL3 등)을 오픈랩으로 운영
❹ (추진과제4) 바이러스 연구 조직·인력 체계 정립
ㅇ (조직체계 및 운영) 우선 연구부서·지원부서·연구자원센터를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바이러스(연) 기능 강화와 함께 조직‧인력 단계적 확대
※ (`21년) 2개 연구센터 및 전략운영실 운영 → (`23년) 3개 연구센터, 전략운영실 및 연구자원센터 등 4개 센터, 2실 운영
ㅇ `25년까지 3개 연구센터 및 9개 연구실을 갖춘 바이러스 분야 대표 기초연구 기관으로 위상 확립
❺ (추진과제5) 바이러스 기초연구 생태계 조성
ㅇ (전략수립) 기관간 정보 공유 및 논의를 통해 바이러스 기초연구 분야 중장기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22)
ㅇ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국내·외 연구기관과 인력교류·협력을 통해 바이러스 전문 연구인력 육성(`22)
ㅇ (바이러스 연구협력 협의체) 바이러스(연) 중심의 기초분야 연구협력 협의체를 구성*하여 역할 분담, 융합연구 기획 등 연구협력 허브 기능 수행(`21.下)
* (상설 참여기관) 바이러스(연), 생명(연), 화학(연), 파스퇴르(연) 등 관련 분야 출연(연) 및 대학
(자문기관) 병원, 기업 및 관련 주요 학회
ㅇ (국내·외 연구협력)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 연구단, 바이러스 분야 연구·방역기관 및 국제 리더십 보유 연구기관과 협력 네트워크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