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소부장 성과보고회 개최
- ➊영구자석용 희토류 일부 대체소재, ➋반도체용 미세 도금소재, ➌수소연료전지용 핵심소재 등 그간 주요 지원성과 공유 및 향후 지원방향 논의
- 10대 미래쟁점(이슈)별 미래 첨단소재 50개 후보 발표
- 소부장 연구개발 투자성과 등을 제11차 소부장기술특별위원회에서 논의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7월 12일 소부장 2주년을 계기로 그간의 과기정통부 정책 지원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지원방향 논의를 위한 성과보고회를 개최하였다.
< 그간 과기정통부의 노력 >
ㅇ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혁신본부 중심의 범부처 소부장 연구개발(R&D) 정책 지휘본부(컨트롤타워) 역할과 함께 주요 품목에 연구개발지원을 추진해왔다.
- 먼저, 주력산업의 핵심기술 확보 차원에서 5년 내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100+85대(대(對)일+대(對)세계) 연구개발핵심품목 기술 자립을 위한 ‘국가핵심소재연구단’(’21년 57개)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 또한, 5~10년 후 차세대 소부장 선점을 목표로 미래선도품목 확보 및 유망 소재 이슈 대응 등을 위한 ‘미래기술연구실’(’21년 34개)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 동시에 나노팹과 소재연구데이터 활용 촉진 등을 지원하고 있다.
< 과기정통부 소부장 연구개발 지원 성과 >
□ 과기정통부는 소부장 지원사업*을 통해 ’19~’21동안 과학기술적‧경제적 정량성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 13개 세부사업 ’21년 4,173억원, ’19~’21동안 9,241억원(소부장 특별회계 기준)
ㅇ 국제과학논문색인(SCI)급 논문 2,171건, 특허출원 1,570건(국내 1,148, 국외 386), 특허등록 466건(국내 407, 국외 59) 등의 과학기술성과를 창출했으며,
ㅇ 직간접매출(327억원)‧투자(726억원) 외에도 기술이전 164건, 기술료 100억원 및 기업 지원 서비스 36,403건* 등의 경제성과를 창출했다.
* 시험평가 및 인증 18,194건 + 기술애로 해소 18,209건
- 그 외 인력양성* 7,541명, 수입대체 직간접 지원 27건 등의 성과도 창출했다.
* 나노팹 이용 전문교육 및 장비이용 실험‧실습 등
< 과기정통부 소부장 지원 정량성과(기술개발/기반구축 구분) >
※ 과기정통부 지원 성과조사 개요
ㅇ 조사방법 : 13개 세부사업별 담당자 대상 양식* 배포‧취합 * 기술개발 : 기술 고도화 및 신기술 개발 등의 지원을 위한 일반적 기술개발 과제
ㅇ 조사대상 : ’19~’21 연구 진행 과제 대상
ㅇ 조사기간 : ’19추경~’21.5.동안 조사대상으로 인해 창출된 성과 |
□ 정량성과 외에도 단순 기술개발 이상의 의미가 있는 연구성과를 다수 창출(20개 성과사례, 상세 자료는 참고2)했으며, 성과보고회에서 발표한 3개 대표 연구개발 성과는 다음과 같다.
➀ 영구자석용 희토류 일부 대체 소재 개발
- 네오디뮴(Nd) 등의 희토류는 모터에 사용하는 영구자석의 소재로서 현재 100% 수입 중이다.
- 재료(연)‧성림첨단산업(주)이 함께 고가인 Nd의 30%를 세륨(Ce, Nd 대비 가격 1/20, 매장량 풍부)으로 대체하는 기술(모터 단가 10%↑ 저감 기대)을 개발했으며, 성림첨단산업은 국내 영구자석 제조공장 설립을 추진 중(설립시 국내 유일)이다.
➁ 반도체용 미세 도금소재 개발
- 모든 반도체칩 생산에 필요한 구리도금소재(도금액)은 현재 100% 수입 중이다.
- 생기(연)은 기존 기술을 고도화하여 세계 최고 성능 고평탄 구리범프 형성이 가능한 도금액을 개발했으며, 에이(A)사로 기술이전하여 현재 국내 대기업 반도체 제조사 라인 평가를 진행 중(’21년 일부 국산화 실현 예상)이다.
➂ 수소연료전지용 핵심소재 개발
- 탄소중립‧수소경제 구현의 핵심인 수소연료전지 핵심소재(불소계전해질막, 전극촉매, 전극용카본, 가스켓 등)별 수입 의존도는 거의 100%인 상황이다
- 에기(연) 주도로 소재별 국산화‧대체 기술을 개발 중(소재별 실험실 또는 준양산 수준 확보)이며, 에이치(H)사로 기술이전(10억원)하는 등 일부 핵심소재의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 확보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 향후 과기정통부 소부장 정책 추진방향 >
□ 과기정통부는 그간의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도 핵심기술 확보를 지속 지원하고, 미래 첨단소재 확보를 위한 기술난제 해결형 지원을 강화해 나가면서, 데이터-인공지능 활용 기반 소부장 연계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ㅇ 첫째, 주력산업 핵심품목(100+85)의 원천기술 확보‧고도화를 위하여 ‘국가핵심소재연구단’을 ’25년까지 100개(누적)로 지속‧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근거 : 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21.4)이다.
* ’21년 57개 → ’25년 100개(누적) 단계적 확대(제5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 ‘21.4)
ㅇ 둘째, 소재분야의 미래 이슈 분석‧예측을 바탕으로, 향후 10년 이후 유망 첨단소재의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기술적 난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는 지원체계를 마련‧운영할 예정이다.
- 올해 시범적으로 진행한 결과물*를 발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차년도부터 단계적으로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ㅇ 셋째, 국가소재연구데이터센터(’20.9~)를 통해 소재연구데이터를 수집‧관리‧활용하는 체계를 강화하여, 전통적인 소재개발에 비하여 기관과 비용을 50% 이상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격려사를 통해 “산학연 연구자와 기업 관계자들의 노력 덕분에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다.”고 강조하며,
ㅇ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핵심기술 자립화를 위한 꾸준한 지원과 함께 미래 첨단소재 선점을 위한 도전적인 투자에 보다 힘을 모아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제11차 소부장기술특별위원회 >
□ 또한, 과기정통부는 범부처 차원의 소부장 연구개발 정책을 심의하는 제11차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를 14:00부터 개최하여 소부장 그간 투자 성과를 점검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방향을 논의하였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에 설치되어 총 24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위원장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경수)과 민간위원장(김상식 :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이 공동으로 수행
□ 범부처 소부장 연구개발 플래닝 타워 역할을 수행한 과기정통부는 그간 ‘일본 수출규제’, ‘국제 공급망 재편’ 등에 대응하여 소부장 기술특위를 신설, 신속하게 소부장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최근 3년간(’19~’21) 소부장 정부 연구개발예산을 2배 이상 확대하였다.
* ① 소부장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19.8), ② 소부장 연구개발 고도화 방안 (‘20.10), ③ 소부장 미래선도품목 연구개발 추진방안 (’21.5)
ㅇ 품목별로는 기술 수준과 수출 규모가 높은 △반도체(30%), △전기전자(21%)를 중심으로 기계금속(21%), 자동차(12%) 분야 연구개발 투자를 집중하였다.
□ 이러한 소부장 연구개발투자 확대에 따라 선도국 대비 70% 수준에 머물던 소재 분야의 기술력이 80%이상까지 꾸준히 향상되고, 반도체, 이차전지 등은 세계 최고 수준(선도국 대비 90% 이상)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정부의 소부장 연구개발지원에 대해 기업 현장 호응도도 매우 높았다. 소부장 중소․중견 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결과, ‘정부 연구개발’이 기술 경쟁력 강화와 위기 극복에 핵심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 (주관) 산업기술진흥협회, (일시) ’21.6.18~6.21, (응답) 연구소 보유 기업 244개
ㅇ 응답기업의 78% 이상이 지난 2년간 국내 소부장 산업의 기술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했고, 기술력 강화의 요인에 대해 △정부 연구개발 정책(70%), △소부장 중요성 인식조성(40%), △기술협력 확대(32%) 등 순서로 응답했다.
ㅇ 또한, 정부의 연구개발은 △기술혁신(80%), △인프라 확충(44%), △생산성 향상(34%)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부장 기술특위를 주관한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향후에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주요 소부장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강화하고 미래선도품목을 중심으로 소부장 미래 공급망 확충에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과기정통부는 지난 5월, 보다 적극적으로 미래 소부장 공급망을 창출, 선점하기 위해 미래선도품목을 발굴한 바가 있으며, 이에 대해 기술이행안(로드맵) 뿐만 아니라 상세품목 개요서까지 알기 쉽게 정리한 책자도 공개한다.
ㅇ 해당 책자는 과기정통부 누리집(www.msit.go.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