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과기정통부, 2021년 나노 및 소재 분야 원천기술개발에 2,879억원 투자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0-12-16

 

 

 

과기정통부, 2021 나노 소재 분야 원천기술개발에 2,879억원 투자

 

- 2021년도 나노 소재 분야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확정 -

- 미래기술연구실(34), 국가핵심소재연구단(57) 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 2,879억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계획은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예산(소재·부품·장비 특별회계 기준) 4,173억원 70% 해당하며, 전년 대비 25% 증가 규모이다.

 

특히, 내년부터는 보다 체계적인 사업 관리와 연구현장의 편의성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해 유사한 성격을 가진 과제들을 묶어 ①미래기술, ②핵심기술, ③사업화, ④팹 고도화, ⑤연구혁신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맞춤형 지원전략을 추진 계획이다.

구분

주요내용

21년 예산
(단위:억원)

미래기술

‣신시장 창출을 선도할 미래유망 원천기술 확보

1,020

핵심기술

‣소부장 핵심품목 연계 등 주력산업 핵심소재 확보

832

사업화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의 사업화 지원

30

팹 고도화

‣나노팹 시설·장비·서비스 고도화 및 활용 지원

643

연구혁신

‣나노·소재 R&D의 효율성 및 전략성 제고

 -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활용 체계 구축

 - 소부장 전문인력 양성 및 기업파견 지원

352

 

 

1

 

 미래기술

 

 

 

 

미래 기술수요에 대응하고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선도할 차세대 나노·소재 유망 원천기술 확보에 1,020억원을 투자한다.

 

  8nm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용 무기 포토레지스트, ▴맥신(타이타늄과 탄소가 층층이 쌓인 2차원 나노물질) 기반 고성능 전극소재 혁신적·도전적 연구주제*(8 30 내외, 181억원) 미래선도품목**(신규, 4 내외, 20억원) 개발을 위한 미래기술 연구실’을 확대할 계획이다.

 

    * 연구주제에 대한 기술수준 및 산업수준을 고려하여 선도형(기술수준↑ 산업수준↓), 경쟁형(기술수준↓ 산업수준↑), 도전형(기술수준↓ 산업수준↓ )으로 지원 다각화

   ** 향후 5년 이후 미래 공급망을 창출·선점할 수 있는 유망품목(21.선정예정) → 전략형

 

  또한, 그간 축적해 나노융합기술이 산업적으로 구현 가능한지 검증(시제품 제작)하는 과제를 새롭게 지원하며, 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하여 바이오융합분야를 우선 지원(8, 60억원 내외) 계획이다.

 

  아울러, 계산과학 신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신소재 발굴 연구단(28, 415억원), 영상/소리 동시구현 디스플레이 소재, 체내 삽입용 유연 전자소자 계속과제(60여개, 344억원) 지속 지원한다.

 

2

 

 핵심기술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100+85) 연계 바탕으로 산·학·연이 (기업 필수참여) 되어 원천기술 기반형 응용연구 수행하는 국가핵심소재 연구단’을 확대 선정(20 32 21 57, 832억원 내외)하고, 이어달리기, 함께달리기 부처협업을 강화한다.

 

    * (특화형) 품목 기술 = 1:1 매칭, 특정품목의 성능구현을 위한 대책기술 확보 지원
(플랫폼형)품목 기술 :1 매칭, 복수의 품목 성능향상에 기반이 되는 범용기술 확보 지원

 

  (특화형) 21 ▴비백금 귀금속촉매 비탄소담지체 기반 수소생산 촉매 소재, ▴나노 LED 디스플레이 소재 10 연구단을 신규로 선정(20 15 21 25)하며,

 

   - 이어달리기 전용사업으로 지정하여 과제기획 단계부터 산업부와 협업하고, 과제종료 상용화 과제 기획에 착수하여 연구성과를 신속하게 상용화 공급망 진입으로 연계한다.

 

  (플랫폼형) 소재+공정+시스템 통합*(package) 지원하여 완성도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연구기간 기술이전을 완료하는 유형으로, 21 15 연구단 추가 선정(20 17 21 32)한다.

 

    * 핵심소재 설계·구현 → 개발된 소재의 부품화를 위한 공정 확보 → 시스템 구현·검증

 

   - , 5 연구단 기초·원천연구와 응용·개발연구를 동시에 추진할 있는 협업품목 대해 과기정통부·산업부·중기벤처부간 함께달리기 연구개발(R&D) 최초로 시도한다.

 

3

 

 사업화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 대상으로 사업화 모델 개발 초기시장 진입 지원하기 위해 나노융합2020+ 사업에 30억원(9 내외, 산업부 공동, 나노) 투자한다.

 

  정부투자대비 454% 누적 매출액을 달성하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올해 종료된 ‘나노융합2020’의 후속 지원으로, 그간의 노하우를 활용하여 특허분석, 기술자문, 상시 모니터링 등을 지원한다.

 

4

 

  고도화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대학 팹시설 확충, 연구자 기업 대상 시험평가 지원 국가 나노인프라 고도화에 643억원을 투자한다.

 

  수출규제 이후, 중소팹리스 기업의 신속한 성능평가 지원을 위해 착수한 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나노종합기술원) 시스템반도체 제작 일괄공정(나노종합기술원-한국나노기술원 협업) 올해 핵심장비 구축을 완료하였고, 21 시범 서비스를 개시 예정이다.

 

  또한, 기존 공공팹 이외에 대학의 반도체 시설·장비·서비스 고도화 신규로 추진(3 기관, 90억원)하며, 대기업 출신 고경력 인력을 활용한 사업화 컨설팅 새로이 추진(10, 한국나노기술원)한다.

 

5

 

 연구혁신

 

 

 

 

먼저, ’디지털뉴딜‘과 연계한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 구축을 지속 지원(20.9~, 21 60억원)하면서, 축적된 연구데이터의 활용 위한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특화 서비스 개발에도 신규 착수(21 79억원)한다.

 

아울러, 나노인프라( 1,000) 연구데이터 플랫폼( 495)에서의 현장 실습경험을 갖춘 소부장 전문인력을 지속 육성하면서, 공공연구기관 기술인력의 소부장 기업파견 신규 지원(45억원)한다.

 

    * 기술인력의 전일제 파견 및 참여율 100%를 전제로, 인건비와 연구비 모두 지원 가능

 

한편, 과기정통부는 지속 확대되는 나노 소재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유관기관 전문성을 활용한 예비기획 신설, ()선정제도* 확대 운영, 평가시 극히불량과제 판단을 통한 연구윤리 강화 적극행정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한국연구재단 PM과 연구자가 조율을 통해 연구계획을 보완하는 단계

 

과기정통부 김봉수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소재·부품·장비 나노기술 정부 차원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지원할 분야”라고 강조하며,

 

  우수한 연구성과가 제품이 되고, 공급망까지 연계 있도록 산업수요를 연구개발에 적극 반영하고, 관계부처 산·학·연 협력을 강화 예산이 낭비 없이 지원되도록 관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