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산학연 융합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9개 연구단 선정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0-05-18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9개 연구단 선정,
5년간 연구단별 약 120억원 지원
 

◇ 100대 핵심품목(기술)과 연계, 소재-공정-시스템 묶음 기술개발

◇ 기술개발 역량과 인프라를 보유한 공공(연)을 총괄기관으로 정책지정

11개 공공(연), 35개 대학, 40개 기업이 참여하는 산학연 융합연구 본격화

수요·공급기업 참여, 사업기간 내 연구단별 대형 기술이전(10억원 이상)

◇ 산학연 협력 플랫폼으로 소재혁신선도본부 구성, 성과창출 밀착 지원

 

□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주력산업 분야 핵심소재 공급안정화에 필수적인 독자기술 확보를 위해 9개 산·학·연 드림팀이 본격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 최기영)는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수행과제와 기관을 확정하고 11개 공공(연), 35개 대학, 40개 기업이 참여하는 9개 산학연 융합 연구단을 공식 출범한다고 밝혔다.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는 일본 수출규제(’19.7) 이후 정부차원의 기술 확보가 시급한 100대 핵심품목의 기술자립을 목표로, 개별 연구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핵심기술을 토대로 품목의 성능 구현·고도화에 필수적이면서도 다수 품목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기술(플랫폼형)을 개발하기 위한 사업으로, 향후 5년간 총 2,066억원을 투자하게 된다. 

* (참고) 특정 품목을 대체할 수 있는 필수요소기술 확보하는 ‘특화형’ 사업 별도 지원(‘19.下~) 

ㅇ 특히, 핵심기술 융합을 통해 소재 설계·구현 → 개발된 소재의 부품화를 위한 공정확보시스템 구현 및 검증으로 이어지는소재·공정·시스템을 패키지로 지원하여 기술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ㅇ 또한, 개발된 기술은 사업기간 내 관련기업에 대형 기술이전을 완료, 연구단별 10억원 이상 기술료를 확보함으로써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공급망 구축에도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동 사업의 연구단은 100대 핵심품목 분야에서 기초연구와 개발연구간 가교역할이 가능하면서도 기술개발 역량과 실증 인프라를 보유한 공공연구기관을 총괄기관으로 ’정책지정‘하고 지정기관 중심으로 수요·공급기업과 대학이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번에 선정된 9개 연구단은 약 30여개의 후보기술군 중 보유기술의 원천성·혁신성·파급성, 100대 핵심품목N-Lab*과의 연계, 산·학·연 협력 및 기술이전 계획 등에 대해 산업계 인사를 포함한 전문가의 개방형 검증 및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되었다. 

* 핵심품목의 안정적 기술개발과 필요시 긴급연구 수행을 위해 국가가 지정한 연구실

** 분야별 선정현황 : 반도체(2), 디스플레이(3), 자동차(1), 전기전자(3)

□ 대표적인 연구단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반도체

고투시성 이미징용 초격자 반도체 소재(KIST 주관)

□ (문제이슈) 극한 환경(화염, 안개 등) 이미징을 위한 화합물반도체 기반 초격자 소재 분야 국내기술은 단일 파장 발진성, 출력도, 검출도 등 특성 부족

□ (개발내용) 화합물반도체 에피층 두께의 정밀제어를 통해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고품질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라이다에 적용하여 투시도 향상

  

디스플레이

초고해상도/초유연 디스플레이 백플레인 소재(ETRI 주관)

□ (문제이슈) IGZO계(인듐/갈륨/아연) 산화물반도체 소재는 능동 구동 디스플레이의 핵심전략 소재이나, 원천특허 부재 및 원재료 수급 문제 존재

□ (개발내용) 비 IGZO계이면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CVD(화학기상증착법)/
ALD(원자층증착법) 방식 산화물 반도체 소재·장비·소자 및 저온 열처리 공정 개발

  

전기전자

저손실/저잡음 전자기제어 소재(재료연 주관)

□ (문제이슈) 5G 상용화 등 활용주파수 대역이 높아지면서 전송신호 손실과 잡음 최소화가 필수적이나, 국내 기술력 및 신뢰성이 부족하여 해외 의존

□ (개발내용) 나노구조화를 통한 표면특성 제어 및 미세계면 제어기술을 통한 저손실 유전소재 및 자성소재, 이를 활용한 RF통신 신호품질 향상기술 개발

□ 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 출범한 소재혁신선도본부 활용하여연구단 내 협업과 애로사항 해결,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기술이전 촉진 등 연구단의 우수성과 창출을 밀착지원하게 되며, 

< (참고) 소재혁신선도본부 개요 >

(조직) 재료연구소(‘20.11월 원 승격 예정) 내 소장 직속 독립 정규조직으로 신설

(구성) 재료연 외 KIST, ETRI, 화학연 등 유관기관 파견인력으로 구성 → 전문성 확보

(역할)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 연구단 밀착 관리 → 혁신기술 조기 확보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 → 기업수요 지속 발굴 및 대형 기술이전 촉진

ㅇ 코로나19로 어려운 기업여건을 고려하여 참여기관의 민간부담금 비율을 완화하고 정부납부 기술료를 면제할 계획이다. 

□ 한편, 과기정통부는 하반기 8개의 신규 연구단을 추가 선정할 계획으로, 이를 위해 중장기적 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100대 핵심품목 정밀분석새로운 기술수요 발굴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차관은 “소재혁신선도프로젝트는 사업기간 내 100대 핵심품목(기술)과 연계된 대형 기술이전 완료라는 도전적 목표와 산학연 역할분담과 정책지정을 통한 공공(연) 책임성 부여 등 혁신적 연구개발 수행방식을 도입하여 국내 소재연구 혁신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ㅇ 앞으로 선정된 산·학·연 융합 드림팀이 목표로 한 성과를 달성하여 핵심소재 공급안정화, 나아가 국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고도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