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중견기업 기본통계」 결과 발표 |
-‘21년 중견기업수는 5,480개, 매출·고용·영업이익 등 전년대비 증가 -
- 중소기업 467개사가 중견기업으로, 중견기업 205개사가 대기업으로 성장 -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중견기업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여 맞춤형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2021년 중견기업 기본통계」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21년 말 기준 국내 중견기업 수는 5,480개로, 전년(5,526개사)대비 소폭 감소한 반면 매출액, 종사자수, 영업이익 등 실적은 증가하였다.
구분 | 기업수(개사) | 종사자수(만명) | 매출액(조원) | 영업이익(조원) | 자산(조원) |
‘21년 결산 | 5,480(△46) | 159.4(+1.6) | 852.7(+82.7) | 53.2(+16.1) | 1,034.1(+45.2) |
‘20년 결산 | 5,526 | 157.8 | 770.0 | 37.1 | 988.9 |
ㅇ 「중견기업 기본통계」는 중견기업 수, 매출액, 업종별 분포 등 일반현황과 투자, 채용 등 중견기업 경영상황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를 통합하여 산업부가 매년 제공하는 국가승인 통계다.
| < 2021년 중견기업 기본통계 개요> |
|
|
| |
◇ (주요내용) ➊(중견기업 일반현황) 중견기업 수, 매출액, 종사자수, 재무 정보 등
➋(중견기업 실태조사) 중견기업 신사업, 기술개발, 투자 등에 관한 정보
◇ (기준시점) ‘21.12.31.
◇ (작성방법) ➊(중견기업 일반현황) 통계청 기업통계등록부(SBR) 기반으로 작성 ➋(중견기업 실태조사)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 이메일 및 방문 조사(1,400개)
◇ (작성기관) 산업통상자원부 / (위탁기관) 한국중견기업연합회 |
2021년 중견기업 기본통계 주요 결과 |
【 중견기업 일반현황 】
□ 기업수는 ‘21년 말 기준 5,480개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46개)하였다. 주요 감소 사유는 ➊중견기업 중 205개사(8개 기업집단)가 대기업*으로 성장(작년 107개 대비 약 2배 증가)하여 중견기업에서 제외, ➋관계기업을 중심으로 한 합병해산 · 휴폐업 증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전체 기업수는 전년 대비 줄었으나, 중소기업 467개(전년 대비 +73개, 18.5%↑)가 중견기업으로 진입하는 등 중소에서 중견으로, 중견에서 대기업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 ’18년 결산 | ’19년 결산 | ’20년 결산 | ‘21년 결산 |
기업 수(개) | 4,635(+167) | 5,007(+372) | 5,526(+519) | 5,480(△46) |
* ‘18~’19년: 「영리법인 행정통계」 정책자료
□ 매출액은 852.7조원으로 제조 및 비제조 업종 모두 전년 대비 증가(+82.7조원, 10.7%↑)하였으며 특히 전기장비, 기계, 화학 등 제조업 매출이 전체 매출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ㅇ 매출액 1조원 이상 기업은 전년(107개) 대비 증가한 115개(+8개, 비중 1.7%→2.1%)이며 매출액 3천억원 미만인 초기 중견기업은 전년(4,943개) 대비 줄어든 4,789개(△154개, 비중 89.4%→87.4%)로 나타나 초기 중견기업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 ’18년 결산 | ’19년 결산 | ’20년 결산 | ‘21년 결산 | |
매출액(조원) | 767.4(+29.4) | 781.6(+14.2) | 770.0(△11.6) | 852.7(+82.7) |
* ‘18~’19년: 「영리법인 행정통계」 정책자료
□ 종사자수는 159.4만명이며 제조업 종사자 수는 63.1만명으로 전년 규모와 유사한 수준이나 정보통신·운수 등 비제조업 종사자 수의 증가*(96.3만명)로 전년 대비 1.6만명(1.0%↑) 증가하였다.
* ①정보통신 : +1.4만명, ②운수(물류 등) : +1.3만명, ③전문과학기술 : +1.1만명
구 분 | ’18년 결산 | ’19년 결산 | ’20년 결산 | ‘21년 결산 | |
종사자수(만명) | 141.3(+5.5) | 148.6(+7.3) | 157.8(+9.2) | 159.4(+1.6) |
□ 영업이익은 제조 · 비제조업 모두 증가하여 53.2조원을 달성하였다.
ㅇ 제조업은 25.2조원으로 전년(17.4조원) 대비 44.8% 증가, 비제조업은 28조원으로 전년(19.7조원) 대비 42.1% 증가하여, 코로나19 이전(‘19년, 39.6조원) 수준 이상의 영업이익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조원) | ‘18년 결산 | ‘19년 결산 | ‘20년 결산 | ‘21년 결산 | |
영업이익 | 41.5(△2.0) | 39.6(△1.9) | 37.1(△2.5) | 53.2(+16.1) | |
| 제조 | 18.8 | 18.4 | 17.4 | 25.2 |
| 비제조 | 22.6 | 21.2 | 19.7 | 28.0 |
□ 자산은 1,034.1조원이며 제조업은 493.9조원(47.8%), 비제조업은 540.2조원(52.2%)으로 조사되었다.
【 중견기업 실태조사 】
□ 신사업을 추진 중인 중견기업 비율은 24.6%(전년 대비 1.3%↑)로 특히 제조 중견기업은 절반 이상인 52.8%가 추진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ㅇ 신사업 추진 분야는 ①미래차(27.7%)가 가장 많고, ②에너지(13.7%), ③바이오헬스(12.3%), ④정보통신(11.0%) 등 순으로 나타났다.
미래차 | 에너지 | 바이오헬스 | 정보통신 | 친환경 |
27.7 | 13.7 | 12.3 | 11.0 | 11.0 |
□ 총 투자금액은 30.7조원으로 전년 대비 4조원 가량 증가(15.2%↑)하였으며 R&D와 설비투자 실적이‘18년 이후 3년 만에 동반 상승하였다.
구 분(조원) | ‘18년 결산 | ‘19년 결산 | ‘20년 결산 | ‘21년 결산 | |
총 투자금액 | 32.3 | 28.6 | 26.7 | 30.7(+4.0) | |
| R&D 투자금액 | 8.0 | 7.8 | 7.7 | 8.4(+0.7) |
| 설비 투자금액 | 24.2 | 20.8 | 19.0 | 22.3(+3.3) |
ㅇ 투자계획의 경우, 어려운 대내외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R&D 투자금액은 지속 확대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 (R&D 투자금액) (’21년)8.4조원 → (’22년e)8.8조원 → (’23년e)9.1조원
□ ‘21년 신규채용은 26.7만명으로 전년(23.1만명)대비 15.6% 증가하였고 그 중 청년채용은 17.6만명(전체 채용의 65.8%)으로 전년대비 16.5% 늘어나 청년채용에 보다 적극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ㅇ 신입사원 초임은 대졸 기준 3,566만원으로 전년(3,424만원) 대비 142만원(4.1%↑) 증가하였다.
□ 중소기업 회귀검토 기업은 6.2%로 전년(6.6%)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ㅇ 회귀검토 요인으로는 ①조세지원 축소(58.0%), ②금융지원 축소(15.4%), ③중소기업적합업종 등 판로제한(14.8%) 순으로 나타났다.
□ 지원확대를 희망하는 정책은 ①금융(32.0%), ②조세(31.1%), ③전문인력 확보 지원(11.2%) 순으로 조사되었다.
□ 산업부 김홍주 중견기업정책관은 “2021년은 계속된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물류대란, 미·중 무역분쟁, 공급망 위기 등으로 기업 경영에 어려움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중견기업은 매출, 신규채용, 투자 등 실적이 전반적으로 예년에 비해 증가하였다 ”라고 평가하며,
ㅇ “중견기업 기본통계 및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중견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규제개선, 세제·금융지원 확대 등 성장 걸림돌 제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향후, 산업부는 우리 경제를 견인하는 핵심 주체인 중견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을 위해 신성장동력 분야 R&D, 중견기업 전용 펀드 조성, 중견기업법 상시화 등 중견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더욱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 자료 이용 시 유의 사항 ㅇ ‘20년 자료부터 기업통계등록부(SBR)를 기반으로 작성한 통계이며, ’19년 이전 자료는 (舊)「영리법인 통계」 기반으로 작성한 통계입니다. (‘21년 자료는 SBR 잠정 자료 기반) - 기업체 집계방식에 따른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시계열 비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