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대(6G)주파수 확보를 위한 아태지역 공동대응 추진 |
- 제4차 APG회의에서 미래 주파수 제안, `23년 WRC를 향한 첫발 내딛어 - - ITU와 6G 주파수 연구를 위한 전문가 파견 논의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세계전파통신회의(WRC)를 준비하기 위해 8월 15일(월)부터 8월 20일(토)까지 태국 방콕에서 개최된 제4차 아‧태지역기구 준비회의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 아태전기통신연합회(APT) 28개 회원국 대표단 등 현지와 온라인 참석을 포함하여 820명이 참가하였으며, 우리나라는 정부 및 산학연 등 전문가 총 55명이 참가하였다.
※ WRC(세계전파통신회의,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s) : 3∼4년 주기로 개최되는 전파분야 세계 최고 의사결정회의로써 WRC-23은 ‘23.12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개최
※ APT(아태지역 전기통신협의체, Asia-Pacific Telecommunity) : 아태지역 전기통신 개발 촉진과 전기통신망 장비․확충에 대한 국제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기구
※ APG(아태지역 WRC 준비그룹, APT Conference Preparatory Group for WRC) : WRC 의제에 대한 아태지역 38개 국가의 공동입장 마련을 위한 회의
□ 이번 회의는 이동통신‧과학‧위성‧항공‧해상 분야 등 WRC 차기 의제에 대한 아‧태지역 공동 의견을 모으는 자리이며, 최종 APT의 공동입장은 내년 한국에서 열릴 제5차 회의에서 본격 논의될 예정이다.
○ 이에 최우혁 전파정책국장은 APT 사무총장을 만나 한국의 제5차 회의 개최를 공식화하였고,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정부차원의 아낌없는 지지와 인력 및 회의진행 전반에 대한 지원을 약속하였다.
○ 제5차 아‧태지역기구 준비회의는 향후 개최될 WRC에서 논의될 보고서를 확정하는 CPM* 회의를 앞두고 개최하는 중요한 회의로, 국내 입장을 최대한 반영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CPM(Conference Preparatory Meeting)은 `23년 WRC 의제별 연구 결과와 국가별 기고문을 토대로, `27년 WRC에서 논의할 보고서(전파규칙 개정방안 등) 작성
□ 이번 회의에서 우리나라는 ‘23년 WRC 차기 의제에 대한 아태지역 공동 입장을 마련하기 위해 이동통신(IMT) 이용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던 주파수 대역을 중심으로 6G 주파수 발굴의 필요성을 선도적으로 제안하였고,
○ ESIM*, 위성 IoT, 위성간 회선 주파수 등 위성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주파수 분배 및 운용 조건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ESIM(이동형지구국, Earth Stations in Motion) : 선박, 항공기, 차량 등에 탑재되어 탑승자들에게 광대역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성통신시스템
○ 과기정통부는 이미 지난 7월「세계전파통신회의(WRC) 준비를 위한 미래 연구과제 발굴 세미나」를 통해 6G 주파수 후보 대역 발굴 등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여, 관련 기관들의 공감과 협력의 장을 마련한 바 있다.
□ 또한, 호주‧베트남‧중국 수석대표와 유럽지역 WRC 준비그룹(CPG) 의장 그리고 ITU-R 국장과의 양자회담에서 WRC 협력 의제를 상호 논의하였고, 우리나라가 주도하기 위한 6G 주파수 발굴에 대해 상호 협력도 이끌어 냈다.
○ 특히, ITU-R 국장과 6G를 이끌어갈 우수한 공무원 또는 민간 전문가의 ITU 파견도 논의했고, 인력 파견이 구체화 될 경우 차기 WRC 회의에서 6G 주파수를 확보하는데 좋은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 최우혁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회의를 통해 우리나라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였고, 앞으로도 아‧태지역에서 우리나라 주도권 확보를 위해 노력할 것”을 강조하며,
○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만들어가기 위해 신규 6G 주파수 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는 만큼, ‘23년 WRC 개최 전 남아있는 국제회의에서 우리나라 중심의 글로벌 주파수 확보 및 보호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