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망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1-12-07

 

 

확장하는 우주경제, 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망

- 대한민국(코리아) 스페이스토론회(포럼) 2021 개최
(12.6~7, 온라인 생중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이하 ‘과기정통부’) 우주산업분야 국내 대표 포럼인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을 12 6()부터 7()까지 이틀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1」 개요 >

 

 

 

 

• (일시/장소21. 12. 6.(∼ 12. 7.() / 서울 포시즌스호텔온라인 생중계 병행*

  생중계 플랫폼 유튜브

 

• (주제“확장하는 우주경제역동적인 생태계 만들기”

 

• (주요 프로그램심포지엄(우주탐사 동향누리호개발 이야기 등)컨퍼런스(뉴스페이스 동향 등)

 

• (주최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관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천문연구원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한국산업기술시험원(우주부품시험센터)동아사이언스

 

 

 

  올해로 세번째를 맞이하는  행사는 국내외 연사  패널  50여명이 참여하는 국제포럼으로온·오프라인으로 동시 진행된다.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 현장에는 최소 인원만 참석하고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국민들을 위해 유튜브 채널* 통해 실시간 생중계와 함께 시청자와 온라인 질의응답도 진행한다.

    https://www.youtube.com/user/KARItelevision

 

 포럼 첫날(12.6)에는 해외 우주탐사 동향을 살펴보고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우주산업에 가져올 변화와 함께역동적인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추진전략을 논의하였다.

 

 NASA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주요 임무계획 책임을 맡고 있는 주드 머랜시는 미국이 50년만에 다시 달을 탐사하게된 이유를 발표하고프랑스 꼬다쥐르천문대 패트릭미췔 연구책임자 등은 소행성의 지구 충돌을 막기 위한 우주탐사 실험인 DART* 프로그램의 진행현황을 소개하였다.

     *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또한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고정환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본부장은 지난 1021 발사한 누리호의 개발과정을 소개하고향후 누리호가 우주산업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발표하였다.

 

 이어진 우주정책 세션에서는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이 지난 11 15 국가우주위원회를 통해 심의·확정한「우주산업 육성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전략을 통해 기업이 보다 쉽게 우주개발에 참여하고 마음놓고 투자할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발사체 발사장  우주 인프라도 확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향후 10년간  170여기의 위성과 40여기의 발사체 발사를 추진하여 기업이 안정적으로 우주산업에 참여할  있도록 공공 우주개발 수요도 확대해 나갈것이라고 밝혔다.

 

 포럼 둘째날(12.7) 혁신적인 민간기업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뉴 스페이스” 기술 동향을 조망하고아시아태평양 지역의우주산업협력모델을 논의한다.

 

 

   아울러세계적인 우주분야 투자회사인 스페이스캐피털의 채드앤더슨 매니징 파트너가 코로나 19이후의 우주산업 환경변화와 함께 향후 우주분야 투자방향을 소개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을 통해 많은 국민들이 우주개발에 관심을 갖고다양한 해외 우주개발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우주개발 정책방향을 점검하는 계기 되기를 기대한다.”라며,

 

  “과기정통부는 지난 11 15 발표한「우주산업 육성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우주산업이 한단계 도약할  있도록 재정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임을 고려하여 사전·사후 방역실시 소독발열 검사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에 따른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한 가운데 진행 예정이다.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의 세부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www.spaceforum.kr)에서 확인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