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서울특별시 (2020-07-27)
[주요내용]
□ 서울 전역의 16만5천여 도시형 소공인을 기획·제작부터 판매, 유통·마케팅까지 종합 지원하는 전국 최초의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가 서울 성수동에 들어선다.
□ 서울시는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수제화 집적지인 성수사거리 인근에 지하2층~지상7층(연면적 2,709㎡) 규모로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달 말 착공해 '22년 6월 말 준공한다는 목표다.
□ 서울 지역에 5만5천여 개 소공인 사업체가 밀집한 가운데,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의류봉제·인쇄·기계금속 등 서울시내 6개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아우르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 서울시내 소공인 집적지역은 총 149개소로, 전국적으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전국 총 696개소 중 21% *산업단지 제외) 서울지역 소공인 사업체는 총 55,048개(제조업 대비 92.8%)가 있으며, 종사자 수는 16만4,172명(제조업 대비 59.4%)이다.('18년 기준)
○ 6개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을지로(인쇄) ▴독산(의류봉제) ▴봉익(주얼리) ▴창신(의류봉제) ▴문래(기계금속) ▴장위(의류봉제) 등에 설치돼 각 소공인 집적지역 특성에 맞는 현장 중심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 서울시 전체 제조업 소공인 지원정책을 발굴하고 각 지역별로 흩어져있는 지원센터를 총괄 지원한다. 업종별·집적지별 특성을 반영한 혁신적인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동종 산업 간, 타 제조업과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과 유통·판로 확대에도 나선다.
○ 소공인특화지원센터 간 프로그램 공유·연계를 통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지원책이 중복되는 행정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 특히, 현대화된 작업공간에서 기획~제작·생산~유통·마케팅 전 과정이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조성된다. ▴초기 소공인을 위한 입주공간 ▴다양한 장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동장비공간 ▴VR(가상현실)·AR(증강현실) 등 첨단기술을 갖춘 쇼룸 등이 조성된다.
□ 성수동에 들어설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는 전국 1호로, 서울시는 지난 '16년 전국 최초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 지정 이후 중앙정부(중소기업청)와 협력해 건립을 추진해왔다. '17년부터 성수동 수제화 집적지 내 사업부지 매입을 시작으로 설계공모 등 사전 준비작업을 해왔다. 국비 50억 원을 포함해 총 179억 원이 투입된다.
○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는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50인 이상의 소공인 사업장이 집적된 지역을 시·도지사가 신청하면 중소기업청장이 최종 지정(3년 지정)한다. 서울시는 성수동(수제화), 종로(주얼리), 문래동(기계금속) 3개 지역을 신청, 국내 1호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된 바 있다.
○ ‘도시형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되면 소상공인 공동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시비가 투입되며, 소공인특화자금 이용시 금리우대 같은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다.
□ 도심제조업은 오랫동안 서울의 성장을 견인한 뿌리산업으로, 특히 4차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분야로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서울의 도심제조업은 규모의 영세성, 인력난, 경쟁심화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이다.
□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통해서 도시형 소공인들이 특히 필요로 하는 제작·기획, 판매, 유통·마케팅 분야를 종합적·집중적으로 지원해 이들이 4차산업혁명 시대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성장의 주체이자 촉매제가 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라며 “이번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 조성을 계기로 제조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제조업 활성화 지원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도심제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을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해나가겠다. 중앙-지방정부간 소공인 협력체계도 탄탄히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 박상돈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장은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도시제조업 소공인 지원사업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 건립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