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게시판

범부처 수소 기술개발 예타 사업 재추진 착수회의 개최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1-27

 
국가필수전략기술 중 수소 기술 육성ㆍ보호를 위한
범부처 수소 기술개발 사업 본격 추진 
- 범부처 수소 기술개발 예타 사업 재추진 착수회의 개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 ‘과기정통부’)는 1월 26일(수) 범부처 수소 기술개발 사업 재추진 착수회의를 개최하였다.

 □ 동 사업은 수소 생산, 저장ㆍ운송 분야 기술개발 및 실증을 통해 국내 수소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과기정통부 등 6개 부처가 공동으로 기획한 사업이며,

 ㅇ 작년 9월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조사 대상으로 신청하였으나, 11월 미선정되었다.

< ‘21년 신청 사업 기획(안) 개요  >

 ㅇ (사업명) 그린수소 등 저탄소 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핵심 기술개발 및 실증

 ㅇ (사업구성) ①수전해 수소, ②해외 생산 수소, ③폐자원ㆍ바이오매스 수소 등을 활용한 공급망 구축 및 실증(3개 분야 9개 프로젝트)

 ㅇ (기간/규모) ’23~’31(9년) / 약 2조원
ㅇ (참여부처) 과기부(주관), 산업부, 국토부, 해수부, 환경부, 특허청(6개 부처)

 ㅇ (미선정 사유) 기술개발ㆍ인프라 구축ㆍ실증이 광범위하게 구성, 실증 지역 입지적정성 검토 부재 등

□ 비록 예타 대상에는 선정되지 못했지만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에너지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핵심수단으로서 수소의 중요성은 최근 점차 강화되고 있다.

 ㅇ 정부는 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해 작년 11월 「수소경제법」에 따른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며,

 ㅇ 작년 12월에는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는 기술패권경쟁에 대응하여 기술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수소 기술을 10개 국가 필수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

□ 이러한 수소 기술의 중요성에 따라 과기정통부 등 6개 부처는 범부처 예타 사업을 재기획하기로 합의하고, 예타 사업 재추진 착수회의를 개최하였다.

 ㅇ 회의에서는 광범위한 사업 내용, 실증지 검토 부재 등 지난 예타 미선정 사유를 보완하기 위한 사업 재구성(안)이 논의되었으며,

 ㅇ 6개 부처는 2030년 그린수소 생산량(25만톤) 및 생산단가(3,500원/kg) 등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상용화 계획을 구체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다.

 ㅇ 이러한 사업 기획 방향에 따라 전문가 기획위원회 등을 거쳐 세부내용을 보완하고 6월 중 예타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 예타 사업 재추진계획(안) 논의 이후에는 2019년 수립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을 보완하기 위해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2.0」 수립 계획도 발표하였다.

□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우리나라가 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수소 생산, 저장 시스템의 소재ㆍ부품ㆍ장비를 국산화하고 수소 산업 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ㅇ “이를 위해 과학기술 출연연의 역량을 결집하고, 많은 기업이 동 사업에 참여하는 체계를 구성하여 예타 사업이 통과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