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한국인 평균 키 40년 전보다 남 6.4cm, 여 5.3cm 커졌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2-03-31

 
<남 172.5cm, 여 159.6cm>
한국인 평균 키 40년 전보다 남 6.4cm, 여 5.3cm 커졌다

-‘롱다리'체형 증가, 남성 비만 늘고 35세 이상 여성 비만 감소 -
- 국표원,「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결과 및 성과 발표회」개최 -
□ 지난 40여 년간 한국인 평균 키가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커지고 ‘롱다리' 체형이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남성의 평균 비만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난 반면 35세 이상 여성의 비만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은 30일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온·오프라인 동시진행으로 공개했다.

ㅇ 또한, 국표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산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이날 웨어러블, 의료기기, 의류, 인체공학 관련 기관과 데이터 활용·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 개요 >

▪ 일시/장소: '22.3.30(수), 14:00&sim;16:00 / 코엑스 스튜디오159(온/오프라인 동시진행)

▪ 주최/주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 한국의류시험연구원

▪ 참석자: 박진규 제1차관, 국가기술표준원장, 한국의류시험연구원장,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물자차장,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이사장, 한국의류학회장, 대한인간공학회장, 단국대 웨어러블 제조데이터 플랫폼센터장 등 30여 명

▪ 내 용: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 결과 발표, 사업성과 전시 및 협업기관 MOU 등
□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의류,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 국민의 인체치수·형상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세계유일의 국가주도 데이터 사업으로 ‘79년 이래 8회째*를 맞았다.

* 1979년 「제1차 국민표준체위 조사」 이후 약 5년 주기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03년 제5차 조사부터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이즈코리아)」로 명칭을 변경

※ (적용사례) 지하철 좌석은 1974년 이래 435mm의 크기가 유지되어 왔으나, 2017년부터 제7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설계된 480mm 크기의 좌석이 보급됨

ㅇ 제8차 조사는 ‘20.5.~'21.12.(20개월) 20~69세 한국인 6,839명을 대상으로, 직접측정 137개, 3차원측정 293개 등 총 430개 항목측정을 실시했다.

□ 이날 발표한 제8차 인체치수조사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평균 키) 제8차 조사 결과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cm, 여성 159.6cm를 기록했다.

- 고도 성장기를 지난 2000년대 이후로도 평균 키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결과, ‘79년 제1차 조사에 비해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커졌다.

* 평균 키 변화('79&rarr;‘86&rarr;'92&rarr;‘97&rarr;'04&rarr;‘10&rarr;'15&rarr;‘21년)

- 남: 166.1 &rarr; 166.8 &rarr; 168.1 &rarr; 168.9 &rarr; 169.4 &rarr; 170.7 &rarr; 172.0 &rarr; 172.5cm

- 여: 154.3 &rarr; 154.1 &rarr; 156.5 &rarr; 156.6 &rarr; 156.7 &rarr; 157.4 &rarr; 158.3 &rarr; 159.6cm

 (인체비율)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다리길이 비율(샅높이/키)이 모든 연령대에서 ‘03년 제5차 조사 대비 증가해, 키에서 하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이른바 ‘롱다리' 체형으로의 변화가 지속되었다.

* 다리길이 비율 변화(2004 &rarr; 2021년) : 남(43.7% &rarr; 45.3%), 여(44.4% &rarr; 45.8%)

<남자 20대/60대 인체비율 변화(5차 vs 8차)>

<여자 20대/60대 인체비율 변화(5차 vs 8차)>

- 반면, 머리수직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지수(키/머리길이)는 1990년대 이후 7.2 ~ 7.3을 유지하고 있으며 머리너비지수(머리너비/머리두께)는 모든 시대·연령·성별에서 동양인의 단두형 비율인 0.84 ~ 0.89 사이를 기록하는 등,

- 키와 몸무게 증가, 체형의 서구화에도 불구하고 일부 인체비율은 한국인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인구) 남성의 평균 체질량지수(BMI, 몸무게/키2)는 40여 년간 꾸준히 증가*해 남성의 절반가량(47.0%)이 비만인 반면, 여성은 ‘79년 22.0에서 '21년 22.6으로 22.0 ~ 23.1 사이에서 등락을 유지했다.

* 평균 BMI 변화('79&rarr;‘86&rarr;'92&rarr;‘97&rarr;'04&rarr;‘10&rarr;'15&rarr;‘21년도)

- 남: 22.1 &rarr; 22.7 &rarr; 23.2 &rarr; 23.3 &rarr; 24.3 &rarr; 24.4 &rarr; 24.8 &rarr; 24.9

- 여: 22.0 &rarr; 22.6 &rarr; 22.8 &rarr; 22.4 &rarr; 23.1 &rarr; 22.6 &rarr; 23.0 &rarr; 22.6

* 저체중(18.5이하), 표준체중(18.5~22.9), 과체중(23~24.9), 경도비만(25~29.9), 중도비만(30이상)

- 특히, 여성의 경우 5년전 제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감소했으며, 50~60대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 복부비만의 지표가 되는 허리둘레 역시 직전 조사결과(‘15년) 대비 남자는 전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며, 여자는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