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하시는 질문

2023년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담은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4-12-26

 

 

2023년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담은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방송사업 매출은 ’22년 대비 4.1% 감소한 18.9조 원방송광고 매출 19.2% 하락

-지상파방송 매출 4,261억 원(10.2%) 감소한 3조 7,340억 원

유료방송 가입자 수는 총 3,630만 단자로 ’22년 대비 0%대 성장률 기록

프로그램 수출액은 인터넷 다중매체(멀티미디어방송 작품(콘텐츠)사업자(IPTV CP) 수출액을 포함하여 6.7억 달러로 집계

  ※ ‘인터넷 다중매체(멀티미디어방송 콘텐츠사업자(IPTV CP)’ 대상으로 신규 조사 실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직무대행 김태규이하 ‘방통위’)는 2023년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담은 ‘방송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방송산업 실태조사’는 방송매출 1억 원 이상의 방송사업자를 대상으로 2000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이다매년 6월 발표되는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방통위)’의 매출액 이외에 프로그램 제작·구매비수출입종사자 등을 추가로 조사하여 결과를 발표한다.

 

 

2024년 방송산업 실태조사(2023년 기준) 개요

 

 

 

 (목적방송산업 기초통계 조사·제공을 통해 정부 방송정책기업의 경영전략 및 학계·연구소 등의 학술연구 지원

 (대상지상파방송사유료방송사방송채널사용사업자인터넷 다중매체 작품 방송 작품사업자(IPTV콘텐츠사업자<CP>) 등 423

 (내용) 매출액, 유료방송 가입자,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및 제작·구매비, 종사자 등

 (수행기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인터넷 다중매체(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상 등록·신고사업자로 규정된 인터넷 다중매체 작품 사업자(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사업자(이하 ‘IPTV CP))의 제작·유통 및 인력 현황을 조사 대상에 새로이 포함시켰다이에 따라점차 중요해지는 방송 작품(콘텐츠산업까지 포괄하여 국내 방송산업 현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조사 대상이 확대되면서 제작 및 유통 부문 실적(제작·구매비수출액)이 증가하였으23년 인터넷 다중매체 작품 사업자(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사업자 대상 시범조사 결과(2022년 기준)를 고려할 경우, 소폭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방송산업 개황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2년 대비

증감

증감률

방송산업 매출(원)

19조 4,016억

19조 7,579억

18조 9,575억

∆8,004억

∆4.1%

 

방송광고 매출(원)

3조 1,512억

3조 831억

2조 4,905억

∆5,926억

∆19.2%

유료방송 가입자(단자)

3,577만

3,630만

3,630만

-

0.0%

프로그램 제작·구매()

3조 92억

3조 2,492억

(3조 7,737억)

3조 8,682억

6,190억

(945억)

+19.0%

(+2.5%)

프로그램 수출(달러)

4억 3,323만

5억 6,129만

(6억 5,546만)

6억 6,731만

1억 602만

(1,185)

+18.9%

(+1.8%)

종사자 수

3만 6,592명

3만 7,015명

(3만 8,713명)

3만 8,299명

1,284명

(∆414명)

+3.5%

(∆1.1%)

 

※ (   ) : 2023년 인터넷 다중매체 작품 사업자(인터넷 다중매체 방송 작품<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사업자) 시범조사 등을 통해 집계한 결과 포함

 

< 매출 현황 >

  2023년 우리나라 방송시장 규모는 방송매출액 기준 18조 9,575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04억 원(4.1%) 감소하여, 역성장을 기록하였다.

 

< 방송산업 매출액 추이(단위: 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2년 대비

증감

증감률

지상파(DMB포함)

3조 9,931억

4조 1,601억

3조 7,340억

∆4,261억

∆10.2%

인터넷 다중매체 방송 제공사업자

4조 6,368억

4조 8,945억

5조 72억

1,127억

+2.3%

유선방송

(종합유선+중계유선)

1조 8,547억

1억 8,041억

1조 7,338억

∆703억

∆3.9%

위성방송

5,210억

5,059억

4,920억

∆139억

∆2.7%

방송채널용사업자

7조 5,520억

7조 6,096억

7조 924억

∆5,172억

∆6.8%

인터넷 다중매체 작품 사업자

8,440억

7,837억

8,980억

1,143억

+14.6%

합계

19조 4,016억

19조 7,579억

18조 9,575억

∆8,004억

∆4.1%

 

 

 

 

   사업자별로는 인터넷 다중매체(멀티미디어방송 제공사업자(이하 ‘IPTV) 인터넷 다중매체 작품 사업자(IPTV CP) 사업자의 매출이 증가하였고지상파방송사업자(DMB 포함이하 ‘지상파’)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이하 ‘PP)의 매출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항목에서는 방송광고 매출이 ’22년 대비 5,926억 원 감소(19.2%)한 2조 4,905억 원으로 집계되어 3조 원을 밑돌았으며종합유선방송(SO)을 제외한 모든 사업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방송광고 매출 추이(단위: 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2년 대비

증감률

지상파(DMB포함)

1조 2,110억

1조 2,104억

9,279억

∆23.3%

방송채널용사업자

1조 6,912억

1조 6,363억

1조 3,522억

∆17.4%

종합유선

1,090억

1,096억

1,105억

+0.8%

인터넷 다중매체 방송 제공사업자

1,071억

961억

724억

∆24.7%

위성방송

330억

307억

275억

∆10.4%

합계

3조 1,512억

3조 831억

2조 4,905억

∆19.2%

 

 

  지상파(DMB 포함)의 총 매출액은 3조 7,3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261억 원 감소(10.2%)하였다특히지난 10년 간 매출 항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광고 매출이 9,279억 원으로 ’22년 대비 2,825억 원(23.3%) 급감하면서, 방송프로그램 판매 매출이 처음으로 광고 매출을 추월하였다.

 

 ※ (광고 매출 비중) (’14) 47.4% → (’23) 24.9%
(프로그램 판매 매출 비중) (’14) 16.8% → (’23) 25.1%

 

< 지상파(DMB 포함) 방송매출 구성 내역(단위: 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2년 대비

증감률

광고

1조 2,110억

1조 2,104억

9,279억

∆23.3%

방송프로그램 판매

9,051억

1조 664억

9,357억

∆12.3%

텔레비전방송수신료

7,055억

7,128억

7,043억

∆1.2%

재송신 매출

4,079억

4,090억

4,551억

+11.3%

기타*

7,636억

7,616억

7,111억

∆6.6%

합계

3조 9,931억

4조 1,601억

3조 7,340억

∆10.2%

 

 * 협찬, 방송프로그램 제공, 기타방송사업 매출 등

 

 

  유료방송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7조 2,330억 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285억 원) 증가하였으나성장률은 지속적으로 둔화되어 0.4%를 기록하였다.

   * 인터넷 다중매체 방송, 위성방송,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이하 ‘SO’), 중계유선방송사업자(이하 ‘RO’)의 방송사업 매출액 합계

 

< 유료방송 매출액 성장률 추이 >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9.1%

8.0%

5.7%

5.0%

3.9%

2.7%

0.4%

 

 

  매체별로는 IPTV가 수신료홈쇼핑송출수수료의 증가에 힘입어 5조 72억 원(+2.3%) 규모로 성장매출 규모 5조 원을 넘어섰다반면 유선방송(종합유선+중계유선)과 위성방송은 수신료 및 홈쇼핑송출수수료 실적 감소로 각각 1조 7,338억 원(3.9%)4,920억 원(2.7%)에 머물렀다.

 

< 유료방송 방송매출 구성 내역(단위: 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2년 대비

증감률

IPTV

4조 6,368억

4조 8,945억

5조 72억

+2.3%

 

수신료

2조 7,151억

2조 8,108억

2조 8,788억

+2.4%

홈쇼핑송출수수료

1조 3,243억

1조 4,795억

1조 5,405억

+4.1%

기타*

5,975억

6,043억

5,880억

△2.7%

유선방송(SO+RO)

1조 8,547억

1조 8,041억

1조 7,338억

△3.9%

 

수신료

6,514억

6,154억

5,834억

△5.2%

홈쇼핑송출수수료

7,470억

7,561억

7,322억

△3.2%

기타*

4,563억

4,326억

4,183억

△3.3%

위성

5,210억

5,059억

4,920억

△2.7%

 

수신료

2,920억

2,794억

2,712억

△2.9%

홈쇼핑송출수수료

1,777억

1,796억

1,772억

△1.3%

기타*

513억

470억

435억

△7.3%

합계

7조 125억

7조 2,045억

7조 2,330억

+0.4%

 

 * 광고 매출, 협찬 매출, 단말장치대여(판매) 매출, 가입 및 시설설치 매출 등

 

  PP의 총 매출액은 전년 대비 5,172억 원이 감소(6.8%)한 7조 924억 원으로 집계되었다. 홈쇼핑을 제외한 PP의 매출액*은 3조 6,015억 원으로 전년 대비 2,982억 원 감소(7.6%)하였으며프로그램 제공 매출(콘텐츠대가수익) 상승(+6.2%)에도 불구하고 광고 매출 부진(△17.4%)이 총 매출액 하락으로 이어졌다.

 

 종합편성 PP, 보도전문 PP, 일반 PP(일반데이터 PP 포함)의 방송사업 매출액 합계이며홈쇼핑 PP(데이터홈쇼핑 PP 포함)는 제외

 

  홈쇼핑PP(데이터홈쇼핑 포함)의 매출액은 총 3조 4,9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90억 원 감소(△5.9%)한 것으로 나타났다. TV홈쇼핑 매출액은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3년 2조 7,290억 원에 그쳤으며데이터홈쇼핑 매출액 또한 7,619억 원(5.9%)을 기록하였다.

 

※ (TV홈쇼핑 성장률) (19) 2.6%  (20) 1.8%  (21) 2.5%  (22) 3.9%  (23) 5.9%
(데이터홈쇼핑 성장률) (19) 32.4%  (20) 27.7%  (21) 11.9%  (22) 0.9%  (23) 5.9%

 

< PP 방송사업매출액 구성 내역(단위: 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2년 대비

증감률

PP(홈쇼핑 제외)

3조 7,320억

3조 8,997억

3조 6,015억

△7.6%

 

광고

1조 6,912억

1조 6,363억

1조 3,522억

△17.4%

프로그램 제공

9,390억

9,996억

1조 615억

+6.2%

협찬

5,258억

5,167억

5,018억

△2.9%

프로그램 판매

3,077억

4,132억

3,267억

△20.9%

기타*

2,683억

3,339억

3,594억

+7.6%

홈쇼핑PP

3조 8,200억

3조 7,099억

3조 4,908억

△5.9%

 

TV홈쇼핑

3조 171억

2조 8,999억

2조 7,290억

△5.9%

데이터홈쇼핑

8,029억

8,100억

7,619억

△5.9%

합계

7조 5,520억

7조 6,096억

7조 924억

△6.8%

 

 * 행사, 방송시설 임대, 기타방송사업 매출 등

 

  IPTV CP의 총 매출액은 8,980억 원으로 이 중 방송프로그램 판매 매출이 7,831억 원(87.2%)으로 집계되었다.

 

< 유료방송 가입자 현황 >

 

  유료방송 가입자는 ’23년 12월 기준 3,630만 단자로 전년 대비 약 3천 단자 증가에 그쳐 0%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 (가입자 증가율) (18) 3.5%  (19) 3.2%  (20) 2.9%  (21) 2.8%  (22) 1.5%  (23) 0.0%

 

 

  매체별 가입자 수는 IPTV 2,098만 단자(+1.5%)종합유선(SO) 1,248만 단자(1.6%)위성방송 283만 단자(3.7%)중계유선(RO) 1만 단자(2.8%)로 집계되었다.

 

 

< 유료방송 가입자 수 추이(단위: 만 단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2년 대비

증감률

IPTV

1,989

2,067

2,098

+1.5%

종합유선(SO)

1,288

1,268

1,248

△1.6%

위성방송

299

294

283

△3.7%

중계유선(RO)

1

1

1

△2.8%

합계

3,577

3,630

3,630

0.0%

 

 

<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 >

 

  2023년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는 IPTV CP의 제작·구매비가 통계에 새롭게 산입되면서 총 3조 8,682억 원을 기록하였다. 이 중 제작비는 2조 8,247억 원(비중 73.0%)구매비는 1조 435억 원(비중 27.0%)으로 나타났다.

 

 

< 매체별 방송프로그램 제작·구매비(단위: 원)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2년 대비

증감률

지상파(DMB포함)

9,848억

1조 362억

1조 352억

△0.1%

PP

1조 9,362억

2조 1,214억

2조 1,564억

+1.6%

 

종합편성

6,126억

6,498억

7,239억

+11.4%

IPTV CP

*

(5,245억)

5,545억

(+5.7%)

IPTV, SO, 위성

881억

915억

1,220억

+33.3%

합계

3조 92억

3조 2,492억

(3조 7,737억)

3조 8,682억

+19.0%

(+2.5%)

 

※ (   ) : 2023년 IPTV CP 시범조사 등을 통해 집계한 결과

 

< 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

 

  2023년 프로그램 수출액은 IPTV CP의 수출액을 포함하여 6억 6,731만 달러를 기록하였다이 중 지상파는 9,521만 달러(비중 14.3%)PP 2억 8,602만 달러(비중 42.9%)IPTV CP는 2억 8,608만 달러(비중 42.9%)로 조사되었다.

 

 

 

< 수출입 현황(단위: 달러) >

구분

수출액

수입액

2022년

2023년

증감률

2022년

2023년

증감률

지상파

2억 7,124만

(1억 2,030)

9,521만

△64.9%

(20.9%)

82

51

37.9%

PP

2억 9,005만

2억 8,602만

△1.4%

7,211

5,717

20.7%

IPTV CP

(2억 4,511)

2억 8,608만

(+16.7%)

*

775

-

 

지상파 계열

(1억 5,094)

1억 8,502만

(+22.6%)

*

125

-

합계

5억 6,129만

(6억 5,546)

6억 6,731만

+18.9%

(+1.8%)

7,293

6,544

10.3%

 

※ (   ) : 2023년 IPTV CP 시범조사 등을 통해 집계한 결과로지상파 수출액의 경우 추세 해석을 위해 지상파 직접 수출과 지상파 계열 CP(SBS콘텐츠허브, KBS미디어수출을 분리하여 기재

 

  주요 수출 국가*로는 미국의 비중이 28.6%로 가장 컸고, 이어 일본(20.5%), 싱가포르(3.3%), 대만(2.1%)이 뒤를 이었다.

 

 * 방송프로그램(완성품)과 포맷 수출입 비중 기준이며, 해외교포방송지원, 타임블럭 등 기타 수출입 형태는 제외

 

※ 수입액은 6,544만 달러로 수출액의 약 1/10 규모이며주요 수입 국가는 일본(44.4%), 미국(40.8%)으로 일본과 미국의 비중이 85% 이상 차지

 

< 종사자 현황 >

 

  2023년 방송산업 종사자 수는 3만 8,299 명으로 직전연도 실시한 IPTV CP 시범조사 결과 반영 시, 전년 대비 소폭 감소(△424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자별로 살펴보면 지상파(DMB 포함)가 13,192 명(△2.2%)유료방송* 6,003 (+0.6%)PP 17,212 (2.0%)IPTV CP 1,892 으로 집계되었다.

 

  IPTV 1,214(전년 대비 +101), 종합유선(SO) 4,375(전년 대비 ∆47), 위성방송 369(전년 대비 ∆18), 중계유선(RO) 45(전년 대비 +2)

 

 

 

< 종사자 현황(단위: 명) >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2년 대비

증감

증감률

지상파(DMB포함)

13,670

13,483

13,192

∆291

∆2.2%

IPTV

919

1,113

1,214

+101

+9.1%

유선방송

(종합유선+중계유선)

4,505

4,465

4,420

∆45

∆1.0%

위성방송

379

387

369

∆18

∆4.7%

PP

17,119

17,567

17,212

∆355

∆2.0%

IPTV CP

*

(1,698)

1,892

(194)

(+11.4%)

합계

36,592

37,015

(38,713)

38,299

+1,284

(∆414)

+3.5%

(∆1.1%)

 

※ (   ) : 2023년 IPTV CP 시범조사 등을 통해 집계한 결과

 

  구체적인 실태조사 결과는 ’25년 1월 과기정통부 누리집(www.msit.go.kr), 방통위 방송통계포털(www.mediastat.or.kr)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누리집(www.kisdi.re.kr)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일러두기 >

 

□ 2024년 방송산업 실태조사에서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3년 시범조사를 거쳐 2024년 실태조사 결과부터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사업자(IPTV CP)의 제작·유통 및 인력 현황이 통계치에 포함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기존에 지상파 실적으로 집계되었던 지상파 계열 IPTV CP 수출입 실적이 2023년 통계치부터 IPTV CP 수출입 실적으로 분리집계되었습니다.

 

□ 자료이용 유의사항

 

 ▸ 조사 대상이 확대됨에 따라 제작 및 유통 부문 실적(제작·구매비, 수출액)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종사자 수 또한 증가한 것으로 보이므로 전년도 결과와 비교 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2년 프로그램 제작·구매비, 프로그램 수출, 종사자 수는 보다 정확한 추세 해석을 위해 각 추이표에 2023년 실시한 IPTV CP 시범조사 결과(2022년 기준)를 표기하였으며정확하게 집계·검증된 수치는 아니므로 추세 해석에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본 조사는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방통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방통위)와 대상사업자수치 산정 기준 등이 다르므로일부 수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