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하시는 질문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역 주도 혁신 성장의 첫걸음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0-02-11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역 주도 혁신 성장의 첫걸음

- 지역의 특·장점을 반영하는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 사업 추진체계 마련 ⇒ 특구별 “맞춤형 기술사업화 전략” 추진 

□ 지난해 지정된 6개 강소특구의 본격적인 육성지역 주도로 시작될 전망이다. 

강소특구는 우수한 혁신역량을 갖춘 기술핵심기관(대학, 출연(연) 등) 중심의 소규모·고밀도의 공공기술 사업화 거점을 지향하는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로 작년 8월 6개의 강소특구가 첫 지정되었다.

 

< ’19년 상반기 강소특구 지정 현황 >

구분(가나다순)

기술핵심기관

특화분야

광역

기초

경기

①안산

한양대 에리카

ICT융복합 부품소재

경남

②김해

인제대

의생명ㆍ의료기기

③진주

경상대

항공우주 부품ㆍ소재

④창원

한국전기연구원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

경북

⑤포항

포스텍,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첨단 신소재

충북

⑥청주

충북대

스마트IT 부품ㆍ시스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강소특구 도입 당시부터 ‘지역이 주도하는 강소특구’를 위해 특구별 차별화된 기술사업화 지원플랫폼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공언해왔으며, 

ㅇ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지역별로 맞춤형 기술사업화 전략을 수립하게 하고 이를 지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 그 간 전문기관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서 기획한 기술사업화 플랫폼의 일괄 적용으로 기존 특구 간 차별성이 다소 부족했다면, 

ㅇ 강소특구는 특구 별 특화분야 중심으로 기존 특구 육성 플랫폼의 큰 틀(기술발굴 → 기술이전·창업 → 기업성장지원) 안에서 단계별 컨텐츠를 지역이 직접 기획하게 하고, 

- 이를 기반으로 올해 특구별로 배정된 예산 약 72억 원(국비 60억 원, 지방비 12억 원)지역이 배분하게 하여 특구별 차별성 및 지역 수월성을 극대화할 예정이다. 

□ 6개 강소특구 소재 지역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혁신 역량기술사업화 각 단계별로 연계차별화된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였다. 

① 먼저 김해, 진주, 포항 강소특구지역 소재 민간 수요처(대기업 등)와의 협업을 통해 민간 수요 반영, 민간 투자 유치 및 판로개척 지원 등 공공-민간 상생 협력을 기반으로 강소특구를 운영한다. 

② 그리고 창원, 안산, 청주 강소특구지역에 위치한 기술사업화 지원기관들을 기술사업화 전(全)단계에 매칭 및 연계하여 R&BD 질적 고도화를 통해 강소특구를 육성한다.

 

강소특구

(특화분야)

경남김해

(의생명·

의료기기)

경남진주

(항공우주

부품소재)

경북포항

(첨단신소재)

경남창원

(지능전기기반 기계융합)

경기안산

(ICT융복합 부품소재)

충북청주

(스마트IT

부품소재)

전략방향

지역 수요처 연계 특화육성

지역 기술사업화 지원기관 연계 특화육성

지역역량연계전략

백병원 중심 기술발굴 및 판로개척

KAI 중심 기술발굴 및 판로개척

POSCO

벤처육성

플랫폼 적용

전기연 보유기술 연계

캠퍼스 내 공공기관 연계

배후공간 내 공공기관 연계

 

□ 이창윤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은 “지역별로 특색있는 강소특구 육성을 위해 지역 내 혁신 주체들 간 머리를 맞대어 고민을 하는 것 자체가지역의 과학기술 역량 발전에 있어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면서 

ㅇ “강소특구 소재 지역의 특성과 강점을 고려하여 각 지역에서 직접 고안한 전략인 만큼, 강소특구 운영에 있어서도지역의 책임있고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한다.”라고 말하며 

ㅇ 또한 “강소특구를 중심으로 지역 주도 혁신 성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는강소특구 현장에서 나오는 목소리에 적극 귀를 기울여 조력자 역할을 충분히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과기정통부는 강소특구 육성사업에 대해 2월 3주차 중 사업 공고를 하고, 관련 사업설명회는 3월 1주차 중 개최할 예정이다. 

ㅇ 추후 자세한 공고사항은 과기정통부(www.msit.go.kr),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www.innopolis.or.kr)홈페이지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