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하시는 질문

2023년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발표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4-03-29

 

 

2023년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이하 ‘과기정통부’) 디지털 포용 정책의 국민 체감 성과와 사회 현황 진단을 위해 일반국민과 디지털 취약계층간 디지털정보격차*장애인·고령자 등의 웹 접근성** 국민의 스마트 기기·서비스 활용 의존도***의 2023년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을 측정·비교하는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 장애인·고령자 등의 웹사이트 접근·이용환경 수준을 조사하는 ’웹 접근성 실태조사‘
 *** 전 국민 스마트기기·서비스 활용 의존도를 측정하는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실태조사 결과 2023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평균 76.9%로 전년대비 0.7%p 개선되었고장애인·고령자 등의 웹사이트의 접근성 수준 65.8점으로, 작년보다 4.9점 상승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량에 대한 조절력이 약화되거나 통제력이 상실되는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3.1%로, 전년 대비 0.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디지털 격차 등 실태조사 주요 결과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그림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00pixel, 세로 878pixel

 

 

 

1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일반국민 대비 디지털 취약계층(저소득층·장애인·농어민·고령층 등)의 디지털 격차를 보여주는 국가승인통계로서, 전국 17개 시·도 15,000*을 대상으로 디지털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조사한다.

 

   * 일반국민 7,000명(고령층 2,300명 포함), 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 각 2,200명, 북한이탈주민·결혼이민자 각 700(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민자는 지수 상으로는 미반영)

 

  디지털 접근 수준은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하고디지털 역량 수준은 컴퓨터·모바일 기기의 기본적인 이용 능력 측정한다. 또한, 디지털 활용 수준은 디지털을 활용하여 전자상거래, SNS 등의 서비스를 실제로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디지털 접근 수준(20%)디지털 역량 수준(40%)디지털 활용 수준(40%)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측정한다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2023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76.9%로 전년 대비 0.7%p 상승하였으며, 최근 5개년 연속 상승 추세로 나타났다.

 

   ※ 최근 5개년 디지털 정보화 수준 : (19) 69.9% → (20) 72.7% → (21) 75.4% → (22) 76.2%  (23) 76.9%

 

  부문별 종합 결과를 살펴보면 디지털정보화 접근 수준은 96.5%(0.5%p), 역량 수준은 65.1%(0.6%p)활용 수준은 79.0%(1.0%p)으로 모두 전년대비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 부문별 디지털정보화수준 >

 

 

image4.bmp_effect_Zn9eoEzQ7DD.png 

 

 

  이에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도 고령층이 70.7%(0.8%p↑), 농어민 79.5%(0.6%p↑), 장애인이 82.8%(0.6%p↑), 저소득층이 96.1%(0.5%p↑) 순으로 나타나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향상되었다.

 

< 계층별 디지털정보화수준 >

 

 

image5.bmp_effect_LJvYmsRDSfa.png 

 

 

2 웹 접근성 실태조사

 

  ‘웹 접근성 실태조사’는 웹사이트 이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8개 업종*의 웹사이트 1,000개를 임의 추출하여 접근성 지침(가이드라인)** 준수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한국표준산업분류 21개 업종 중 선별(도매·소매업숙박·음식점업정보통신업금융·보험업부동산업교육서비스업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

 

  **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국가표준, KS X OT0003)

 

  조사 결과웹 접근성 전체 평균 점수 65.8으로 전년 대비 4.9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19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 (19) 53.7점 → (20) 60.7점 → (21) 60.8점 → (22) 60.9점 → (23) 65.8

 

  업종별로 살펴보면전년과 마찬가지로 ‘금융 및 보험업’분야 웹사이트 7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부동산업’ 분야 웹사이트 58.2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 업종별 웹 접근성 수준 >

 

 

 

 

  규모별로 살펴볼 때, 종사자 수가 많은 사업체일수록 웹 접근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 종사자수별 웹 접근성 수준 >

 

 

 

 

3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는 스마트폰 이용량 조절 능력건강·일상생활 문제 발생 여부 등 스마트폰 이용 행태를 조사하여 과의존 위험군 현황을 파악하는 국가승인통계로서전국 17개 시·도 10,000가구를 대상으로 11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한다.

 

※ 스마트폰 과의존 :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이용하여 ① 일상에서 스마트폰이 가장 우선시 되고(현저성), ② 이용량을 조절하는 능력이 감소하며(조절 실패), ③ 신체·심리·사회적 문제를 겪게 되는(문제적 결과) 상태를 의미하며 ~③ 기준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로 점수화

 

   * 연령대별 기준 점수대에 따라 일반사용자군→잠재적위험군→고위험군으로 분류

 

 

  23년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 비율은 23.1%로 전년(23.6%) 대비 0.5%p 감소하였다.

 

   ※ 과의존 위험군 비율 : (‘21) 24.2% → (’22) 23.6% → (‘23) 23.1%

 

  연령대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을 살펴보면유아동(3~9) 25.0%(1.7%p), 성인(만20세~59세) 22.7%(△0.1%p), 60대 13.5%(△1.8%p)로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고 청소년(만10~19세)은 40.1%로 전년과 동일했다.

 

 

<연도별·대상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7580002.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17pixel, 세로 1944pixel

 

 

  온라인 동영상 이용자 중 73.5%가 1분 남짓 짧은 길이의 영상을 의미하는 ‘숏폼’을 이용하고 있으나숏폼 이용자 전체 중 23.0%가 이용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으며 일반 사용자군(16.5%)보다 과의존 위험군(41.8%)이 어려움을 겪었으며 연령대 중 청소년(36.7%)이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대상별 숏폼 시청 조절의 어려움 정도>

(분석단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이용자 중 숏폼 플랫폼 이용자, 단위: %)

 

 

  동 실태조사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시행한 면접조사 결과와 웹사이트의 접근성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루어졌으며조사의 세부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www.nia.or.kr홈페이지를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다.

 

  이번 실태조사에 대하여 과기정통부 송상훈 정보통신정책관은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과 디지털 접근성을 제고하는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포용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