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기업의 공장 가동 인력난, 숨통 트인다 |
- ‘한국형 퀵스타트(Quick Start) 프로그램’ 시범 도입 - 공장 준공 시점에 맞춰 필요한 인력 적기 공급 |
기업이 지방에 공장을 짓고도 마땅한 인력을 구하지 못해 공장 가동이 지연되고 손실을 입는 일이 적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이런 일들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는 공장 신·증설을 앞둔 지방투자기업에 대해 ‘한국형 퀵스타트(Quick Start) 프로그램’을 올해 시범사업으로 지원한다고 5.8일 밝혔다.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은 지방에 투자하기로 결정한 기업이 공장 준공 이전인 공장을 건설하는 기간 동안 공장 가동에 필요한 인력을 사전에 모집하여 교육하고, 공장 준공과 동시에 해당 인력을 투입함으로써 공장이 적기 가동될 수 있도록 돕는 사업이다. 지방투자기업은 지자체, 산학융합원, 교육기관 등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 참여를 신청할 수 있으며, 산업부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을 통해 5.9(화)부터 6.8(목)까지 약 한 달간 신청 접수한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사례 조사에 따르면, 초기 인력난으로 공장의 100% 가동이 지연된 기업의 경우, 약 1~3억원의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비수도권 14개사(社) 조사 결과(’23.2.24~3.9, 한국산업기술진흥원), 13개사(社)는 필요인력 대비 평균 21.5%의 인력 미충원이 발생하여 공장 가동에 차질 발생
| <지방투자기업 현장의 목소리 > |
|
|
| |
ㅇ A기업 : 공장 준공시점에 필요한 신규인력 대비 지역 내 인력 채용만으론 역부족, 기업 내 인력 재배치 등을 통해 문제 해결 추진 중이나, 지방투자기업의 인력 확보·교육 문제 해소를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
ㅇ B기업 : 공장 준공에 맞춰 인력 확보 계획을 수립했으나, 인력 부족, 기업 인지도 부족 등으로 인한 미충원 발생
ㅇ C기업 : 인력 확보계획을 사전에 수립하였으나 지역 내 인력만으론 채용이 어려운 상황이며, 기업 자체적인 홍보만으로는 채용에 한계 존재, 대학과 연계체계 구축 등을 통해 문제 해결을 추진하고 있으나 지방투자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인력 애로 지원책이 필요 |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은 미국 조지아주의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기획한 것으로, 지방 이전·투자 기업이 겪는 초기 인력난을 해소해 지방투자를 촉진하는 기업 지원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산업부는 연두 업무보고에서 지방투자기업의 적기 인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미국 조지아주는 경제개발 프로그램 중 하나로 1967년부터 퀵스타트(Quick Start)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조지아주정부는 기업이 조지아주에 투자하는 것을 결정함과 동시에, 주정부가 인력 모집부터 교육프로그램 설계·운영까지 기업과 함께 논의하고 협업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모든 비용은 조지아주에서 부담한다. 조지아주는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자국기업 뿐만 아니라 외국 기업도 유치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아자동차, SK이노베이션 등도 조지아주 퀵스타트 프로그램을 통해 필요 인력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 올해 시범사업은 2개의 지방투자기업을 선정하여 채용후보자 모집, 맞춤형 교육 등에 총 예산 10억원의 국비를 지원한다. 선정 기업은 지자체, 산학융합원 등의 도움을 받아 채용후보자를 선발하고, 지역 대학 등을 통해 특화된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제공받게 된다. 채용후보자로 선발된 인력은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교육기간 동안 월 200만원의 교육훈련 장려금을 지원받는다.
산업부 관계자는 “윤석열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핵심은 기업의 지방투자를 촉진하여 좋은 일자리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며,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이 세제, 입지, 현금 등 현행 인센티브와 더불어 실효성 있는 지방투자 유인책으로 자리 잡도록 노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올해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보완하여, 내년부터는 본격 시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한국형 퀵스타트 프로그램의 시범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